 |
인터넷 캡쳐 |
윤석열 대통령 파면으로 인한 21대 대통령 보궐선거가 6월 3일로 정해져, 여야와 제3당에서는 후보자 선출을 위한 경선에 돌입했다.
대통령을 잃은 국민의힘은 당원 50% 국민여론 50%로 최종 후보를 선출하는 경선룰을 정했다고 하며, 이재명 1인 독점체제로 운영되고 있는 더불어민주당 후보 경선은 권리당원 50% 국민여론조사 50%로 결정짓도록 확정하였다는 발표다.
기성정당들의 경선룰이라는 것이 일반인의 눈에는 마치 특정 후보를 위한 방식으로 정해졌다는 의구심이 많다.
국민의힘이 경선룰을 보면, 국민여론조사 100%로 실시하여 4명을 본선에 올려 선거인단 50% 국민여론조사 50%로 2명을 결선후보로 정하는데, 만약 4인 후보 중 50%를 넘는 후보가 나오면 그대로 최종 후보를 결정짓는다고 한다. 이로 인해 후보간의 과열 경쟁으로 파열음이 예상되는 것도 사실이다.
이러한 양당의 경선룰을 보는 국민들은 어느 당이 민주주의 방식에 가까운 후보를 내세우는지를 두고 이번 보궐선거에서 승자를 가릴 기회를 가질 것이다. 분명히 말하지만 경선 방식에 따라 민심의 향방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 된다.
한마디로 대통령을 하겠다는 사람의 올바른 도덕적 자세를 보여주는 행위가 국민의 지지를 받는 바로미터가 되리라 확신하기 때문이다.
 |
대권 도전 선언하는 김두관 전 의원 |
이런 가운데 왜 더불어민주당에서는 이재명 후보 외 다른 경쟁자가 중도에 포기하는 모습을 보이는 것일까? 국민의힘에서도 마찬가지다! 특정인을 위한 각본 자체가 경선의 비민주주적 행위를 유발시키는 원인 때문이 아닌가 묻고 싶다.
선거는 절대 권력자를 뽑는 것이 아니라, 법 아래서 공정과 상식을 실천하는 사람을 선택하여 국민으로부터 존경을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러므로 대통령 임기 ‘권불십년 화무십일홍(權不十年 花無十日紅)’이란 중국의 고사성어(故事成語) 상기한다면, 각 당의 경선룰 만은 만인이 인증하는 방식으로 실행되어야 할 것이다!
지·만·호 <前 통합민주당 거제시위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