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북한 발사 탄도미사일 |
북한이 지난 8일 동해상으로 여러 발의 단거리 탄도미사일(SRBM)을 발사하며 또다시 무력 시위에 나섰다.
이번 발사는 올해 들어 네 번째이며, 지난 3월 10일 이후 약 두 달 만에 이뤄진 탄도미사일 도발이다.
합동참모본부는 "8일 오전 8시 10분부터 9시 20분까지 북한 원산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다양한 종류의 단거리 탄도미사일 수 발을 포착했다"며 "미사일은 최대 약 800km를 비행해 동해상에 탄착했다"고 밝혔다.
발사된 미사일은 KN-23(북한판 이스칸데르)과 KN-25(600㎜ 초대형 방사포)로 추정되며, 이동식발사대(TEL)에서 4\~5차례에 걸쳐 순차 발사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KN-25는 250\~350km 구간에서 비행한 것으로 보이며, KN-23은 일본 방향으로 약 800km를 날아간 것으로 파악됐다. 일부 미사일은 함경북도 길주군 앞바다에 위치한 알섬을 명중했거나, 그 너머에 떨어진 것으로 확인됐다. 알섬은 북한이 미사일 성능을 시험할 때 자주 표적으로 삼는 무인도다.
군 당국은 이번 발사와 관련해 "한미 정보당국은 북한의 발사 준비 동향을 사전에 포착해 감시했고, 발사 즉시 탐지·추적했다"며 "미국·일본 측과 긴밀히 정보를 공유하고 있으며 세부 제원은 정밀 분석 중"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는 한반도 평화와 안정을 심각하게 위협하는 명백한 도발"이라며 "북한이 오판하지 않도록 확고한 한미 연합방위태세 하에 어떠한 도발에도 압도적으로 대응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경고했다.
이번 발사가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이 아닌 단거리 미사일로 한정된 점에 대해, 군과 전문가들은 북한이 미국 트럼프 행정부를 자극하지 않기 위한 계산된 전략이라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동시에 러시아와의 무기 협력 가능성에도 무게가 실린다.
군 관계자는 "김정은이 최근 포탄 생산 공장을 시찰한 점과 이번 단거리 미사일 발사는 러시아 측에 무기를 수출하기 위한 기술적 신뢰도를 높이려는 시도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국방부 이성준 합참 공보실장 또한 "수출용 성능 점검 또는 비행 안정성 평가 차원일 가능성도 있다"고 밝혔다.
북한은 올해 들어 중거리급 극초음속 미사일(1월 6일), 단거리 미사일(1월 14일), 근거리 탄도미사일(3월 10일)을 시험한 바 있으며, 이번 발사는 2025년 들어 네 번째 탄도미사일 시험에 해당한다.
북한의 연이은 무력 도발은 향후 동북아 정세와 북러 군사 협력 구도의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김·도·윤 <취재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