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악수하고 있는 김문수 후보와 한덕수 전 국무총리 |
국민의힘의 대선 후보 교체 시도가 결국 좌초됐다. 김문수 후보를 대신해 한덕수 전 국무총리를 대선 후보로 교체하려던 당 지도부의 계획은 10일 실시된 전 당원 투표에서 부결되며 무산됐다.
당 비상대책위원회는 이날 ARS 방식으로 진행한 전 당원 투표에서 “근소한 차이로 후보 재선출 설문이 부결됐다”고 발표했다. 수치는 공개되지 않았지만 당 안팎에선 절차적 정당성에 대한 당원들의 우려가 반영된 결과로 해석되고 있다.
신동욱 수석대변인은 비대위 회의 직후 브리핑에서 “오늘 투표 결과에 따라 김문수 후보가 당의 공식 후보 지위를 회복하게 됐다”며 “11일 후보 등록을 마치고 선거 체제에 돌입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김 후보는 입장문을 통해 “모든 것이 제자리로 돌아왔다”며 “즉시 선거대책위원회를 출범시키고, 이재명 후보에 맞선 빅텐트를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후보 교체의 추진을 주도했던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은 이날 책임을 지고 사퇴했다. 권 위원장은 “단일화를 이루지 못한 것은 모두 제 부족함 때문”이라며 “당원과 국민 여러분께 혼란을 드린 점 진심으로 사과드린다”고 말했다.
비대위는 전날 자정부터 김 후보의 후보 자격을 박탈하고 한덕수 후보의 입당 및 등록 절차를 속전속결로 진행했다. 이 과정에서 당 안팎에서는 절차적 투명성과 정당성 훼손에 대한 강한 비판이 제기됐다.
특히 후보 교체가 당헌 당규상 모호한 근거 위에서 진행됐다는 점과, 공식 후보 등록일을 불과 하루 앞두고 벌어진 '급변'은 기존 지지층 내부에도 높은 불신을 초래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또한 '반(反)이재명' 연대의 중심축을 자처해온 김문수-한덕수 단일화 구상이 무산되면서 여권 진영의 선거 전략에도 적잖은 차질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정치권 관계자는 “당 지도부의 조급한 교체 시도는 절차적 정당성과 당원 주권을 동시에 훼손한 사례로 기록될 것”이라며 “이로 인한 후폭풍은 선거판 전체를 흔들 수도 있다”고 분석했다.
김·희·철 <취재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