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안보리 회의장서 발언하는 이성의 이사장 - 인터넷 캡쳐 |
유엔 안전보장이사회(UNSC)가 한국전쟁 중 북한에 의해 강제로 납치된 민간인들의 문제를 공식적으로 다루며, 전쟁·무력분쟁 중 실종자 문제에 대한 국제사회의 책임과 대응을 촉구했다.
15일(현지시간)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린 안보리 회의는 ‘무력분쟁 시 민간인 보호’라는 의제로 미국, 영국, 프랑스의 요청에 따라 소집됐다. 이 회의는 2019년 만장일치로 채택된 안보리 결의 제2474호의 이행을 점검하기 위한 첫 공식 회의로, 결의는 분쟁 중 실종자의 수색 및 유해 송환을 국제법적 의무로 명시하고 있다.
이날 회의에는 한국전쟁 납북자 피해 가족을 대표해 이성의 6·25전쟁납북인사가족협의회 이사장이 브리퍼로 참석했다. 그는 납북 피해자였던 부친의 사진을 직접 꺼내들며 안보리 이사국들을 향해 “북한의 조직적 납치는 현재까지도 이어지고 있는 범죄”라고 단호히 말했다.
이 이사장은 “북한은 명백한 증거와 생존자들의 증언에도 불구하고 납북 사실을 부인하고 있다”며 “한국전 납북자는 강제실종 범죄의 최초이자 가장 대규모 사례로, 해결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북한의 납치 책임을 국제형사재판소(ICC)에 제소하는 방안 등 실질적인 국제 조치를 강력히 요구했다.
같은 자리에서 하마스에 의해 납치돼 사망한 것으로 추정되는 이스라엘인 병사의 부친 루비 첸도 증언에 나섰다. 그는 “과거 한국에서 일하며 납북 가족들의 비극을 접한 적 있다”며 “납치는 보편적 인권 침해이며, 한국과 이스라엘은 지금도 같은 아픔을 겪고 있다”고 밝혔다.
황준국 주유엔대사는 두 가족의 증언을 언급하며 “75년 전 전쟁과 오늘날 분쟁이 다르지 않다. 사랑하는 이의 생사조차 모른 채 살아가는 가족들의 고통은 시간이 지나도 결코 희석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는 “북한은 여전히 납치 사실을 부인하며 한국과 일본 등 타국의 국민을 구금하고 있다”며 국제사회의 단호한 대응을 요청했다.
도로시 셰이 유엔 주재 미국대사 대행도 “하마스는 잔인한 방식으로 인질을 살해하고도 시신조차 돌려주지 않고 있다”며, “이런 행위에 국제사회는 침묵하지 말고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어 “미국은 납북자, 억류자, 미송환 국군포로 문제 해결을 위해 지속적으로 행동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회의를 통해 유엔 안보리는 전쟁·무력분쟁 중 실종된 민간인 문제에 대한 국제적 책무를 재확인하고, 특히 한국전쟁 납북자 문제에 대한 역사적 조명을 공식화했다. 이로써 북한의 반인도적 범죄에 대한 국제사회 차원의 규탄과 대응이 한층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김·성·일 <취재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