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파괴된 팔레스타인 가자지구 |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가자지구에 거주 중인 팔레스타인 주민 가운데 최대 100만 명을 리비아 또는 시리아로 영구 이주시키는 방안을 본격적으로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NBC 방송은 16일(현지시간),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해 이 같은 내용을 보도하며, 트럼프 정부가 해당 계획을 위해 리비아 측 지도부와 직접 협의를 진행했다고 전했다.
NBC에 따르면 미국은 이 계획의 대가로, 10여 년 전부터 동결돼 있던 수십억 달러 규모의 리비아 자산을 해제하는 방안을 제안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 함께 미국 정부는 이스라엘 측에도 관련 내용을 이미 전달했으며, 팔레스타인 주민을 위한 재정적 인센티브, 예컨대 무료 주택 제공이나 현금 보조금 지급 등의 방안도 내부적으로 검토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이주 추진을 위한 구체적인 자금 조달 계획이나 주민 참여 규모는 아직 명확하지 않다. 더불어 이주 대상자들의 최종 정착지와 그에 따른 정착 인프라, 교통수단, 안전 보장 등도 불투명한 상황이다.
특히 가자지구와 리비아 사이의 복잡한 항공·도로망과 지역 안보 상황을 고려할 때, 최대 100만 명에 달하는 인구의 대규모 이주는 현실적으로 실행이 매우 어렵다는 지적이 나온다.
일각에서는 시리아 역시 가자지구 주민의 재정착 후보지로 거론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이는 국제사회 내에서 또 다른 논란을 예고하고 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월 이스라엘 베냐민 네타냐후 총리와의 공동 기자회견에서 "가자지구 내 팔레스타인 주민을 인근 국가로 이주시킬 의지가 있다"고 발언했으며, 심지어 "미국이 가자지구를 장악해 휴양 도시로 개발하겠다"는 구상을 밝히기도 했다.
이 같은 계획은 중동 국가들을 비롯한 국제사회에서 강한 비판을 받고 있다. 팔레스타인 자치정부는 물론, 유엔과 유럽연합 내 인도주의 단체들도 해당 이주 계획이 사실상 ‘강제추방’이자 국제법 위반 소지가 크다고 우려하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는 아직까지 공식 입장을 밝히지 않고 있지만, 이 같은 구상 자체가 팔레스타인 문제의 외교적 해결 가능성을 위협하고 있다는 비판은 더욱 거세질 것으로 보인다.
안·희·숙 <취재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