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북한 김정은, 공군 방공·공습훈련 지도 |
북한이 고난도 무기체계로 평가되는 중거리 공대공미사일의 실사격 훈련 장면을 처음으로 공개하며, 공중 전력 현대화에 본격 돌입했다는 신호탄을 쏘아올렸다.
이와 함께, 러시아와의 군사협력을 통한 기술 이전 가능성도 제기되며 한반도 안보 지형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17일 조선중앙통신에 따르면, 김정은은 15일 공군 제1사단 비행연대를 방문, 공군의 방공·공습 대응 훈련을 직접 지도했다. 훈련은 미그-29 전투기에서 신형 공대공 미사일과 활공유도폭탄을 발사해 순항미사일 및 무인기 표적을 격추하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특히 2021년 국방발전전람회 ‘자위-2021’에서 처음 외형이 공개됐던 신형 공대공 미사일의 실사격 장면이 이날 처음 공개되었다.
국방전문가인 국민의힘 유용원 의원은 “우리 군도 아직 초기 단계인 중거리 공대공 미사일을 북한이 실사격까지 진행했다는 점은 기술적으로 상당한 진전”이라며, “항전장비, 레이더 등 미사일 체계 통합이 이뤄졌다는 신호로, 최근 북·러 협력을 통한 기술 이전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이번 훈련에서 북한이 사용한 공중표적은 한국군의 순항미사일과 유사한 ‘북한판 우란’ 및 가오리형 무인기로 보이며, 공중 대응 능력의 고도화를 과시한 것으로 풀이된다.
또한 북한은 GPS 및 광학 유도 방식의 공대지 활강폭탄도 선보이며, ‘북한판 KGGB’ 개발 가능성을 시사했다. 이는 정밀타격 역량 강화의 일환으로 해석된다.
북한은 이번 훈련에서 2023년 처음 공개한 전략정찰무인기 ‘샛별-4형’(글로벌호크 유사형) 및 공격형 무인기 ‘샛별-9형’(리퍼 유사형)의 비행 장면도 재차 공개했다. 특히 샛별-9형의 편대 비행 장면은 이번에 처음 노출, 유사시 미군 무인기와의 피아 식별이 어렵게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유 의원은 “북한이 우크라이나전에서 드러난 현대전 양상을 전력 개발에 반영하고 있으며, 재래식 공군 전력의 현대화에 대한 경계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러시아의 기술 지원이 북한의 육·해·공군 전반에 걸친 무기 고도화로 이어지고 있는 만큼, 북한의 비대칭 전력뿐 아니라 재래식 전력의 질적 변화에도 주목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편, 북한의 이 같은 공중무력 공개는 향후 한미 공군 연합훈련 및 전략자산 전개에 대한 대응 성격도 내포한 것으로 분석되며, 북·러 협력의 군사적 성과를 과시함으로써 대내외 결속을 강화하려는 정치적 의도도 깔려 있는 것으로 보인다.
김·성·일 <취재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