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021년 미군 철군 당시 나라를 떠나려고 공항에 몰린 아프간 주민들 |
조 바이든 행정부가 단행한 2021년 아프가니스탄 미군 철수 작전에 대해 미국 국방부가 본격적인 진상조사에 착수했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2기에서 임명된 피트 헤그세스 국방장관은 20일(현지시간), “아프간 철군의 전말과 책임 소재를 규명하기 위한 특별조사패널 구성”을 공식 지시했다.
헤그세스 장관은 “이 처참하고 부끄러운 철군은 미국 대외정책 역사상 가장 어두운 순간 중 하나”라며, “우리의 전사들과 국민을 위해 철군의 전 과정에 대한 투명하고 포괄적인 조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국방부가 이미 3개월 이상 철군 관련 문서와 군 지휘체계를 분석해왔으며, 이번 패널을 통해 전면적이고 독립적인 조사가 진행될 것이라고 밝혔다.
조사의 초점은 특히 2021년 8월, 철군 작전이 진행 중이던 카불 공항에서 발생한 자폭 테러에 맞춰져 있다. 당시 테러로 미 해병대원 13명을 포함한 미군 장병들이 희생되었고, 아프가니스탄 민간인 170명 이상이 목숨을 잃었다. 이는 철군 준비 부족과 현장 판단 미흡에 대한 국민적 분노를 촉발시킨 결정적 사건으로 남아 있다.
또한 철군 이후 아프가니스탄 정부군이 붕괴되고, 탈레반이 수도 카불을 포함한 전 국토를 단기간에 장악하면서 미국의 20년간의 개입은 사실상 실패로 결론났다. 수천 명의 아프간 조력자들이 남겨진 채 탈출하지 못하고, 인권과 여성 권리의 퇴행을 초래한 점도 이번 조사의 핵심 관심사로 지목되고 있다.
이번 조치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보수 진영이 지난 대선에서 거듭 제기한 ‘바이든의 외교 실패 책임론’을 정책 차원에서 구체화한 것으로 해석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철군 참사를 “총체적 리더십 붕괴”로 규정하며 “철군은 바이든의 결정이었고, 그 결과는 참담했다”고 비판해왔다.
반면 바이든 행정부는 “트럼프 1기 당시인 2020년, 미국과 탈레반 간 평화협정이 이미 체결되어 철군 시한이 정해져 있었으며, 정권 교체 이후 선택지는 제한적이었다”고 해명해 왔다. 그러나 이번 국방부의 진상조사 착수로 당시 결정과 대응의 타당성이 다시금 도마 위에 오르게 됐다.
특별조사패널은 국방부 및 정보기관 인사들과 외부 안보 전문가들로 구성되며, 관련 보고서는 수 개월 내 공개될 전망이다. 미국 내 여론과 의회의 반응에 따라, 향후 청문회와 정치적 책임 추궁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커지고 있다.
이번 조사는 단순한 외교 실패 규명을 넘어, 미국의 해외 주둔 및 철군 정책 전반에 대한 교훈을 남길 중대 전환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안·두·희 <취재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