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진수 사고 후 위장막으로 덮인 북한 5천t급 구축함의 위성사진 - 인터넷 캡쳐 |
북한은 김정은이 참석한 가운데 발생한 청진조선소 5,000톤급 신형 구축함 진수 사고와 관련해 함정의 파손 정도는 심각하지 않다고 밝히면서도, 사고를 “용납할 수 없는 범죄적 행위”로 규정하며 관련 책임자 처벌 방침을 재확인했다.
조선중앙통신은 23일 보도를 통해 검찰 및 해군 전문가들로 구성된 사고조사위원회가 21일 진수 중 발생한 구축함 전복 사고에 대한 본격 조사를 벌였다고 밝혔다.
통신에 따르면 수중 및 내부 정밀검사 결과, “선저에 구멍은 없고 우현 선체의 긁힘과 일부 선미 구조통로의 해수 침수만 확인됐다”고 전했다.
전문가들은 침수된 격실의 배수와 구조물 분리, 균형 회복까지 2\~3일, 우현 수리에는 10여 일이 소요될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이에 따라 조선노동당 제12차 전원회의(6월 하순) 이전까지 복구가 가능할 전망이다.
그러나 북한 당국은 사고 경중과 무관하게 철저한 책임 추궁을 예고했다. 노동당 중앙군사위원회는 “함의 상태가 양호하다고 해도, 사고는 결코 용납될 수 없는 중대 범죄”라고 규정하며 “책임 있는 자들은 절대로 죄과를 무마할 수 없다”고 경고했다.
이어 “이번 사고의 중대성은 단지 물적 손실에 있지 않고, 모든 부문에 만연한 무경각과 무책임, 비과학적 경험주의에 강력한 경종을 울리기 위함”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북한 법 기관은 사고 책임이 명백한 인물들을 대상으로 구속 조사에 착수했으며, 사고 발생 이튿날인 22일에는 홍길호 청진조선소 지배인이 소환되었다.
이번 사고는 구축함 진수 중 함수와 함미 이동의 균형이 맞지 않아 함미가 먼저 바다로 미끄러지며 발생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이를 “도저히 있을 수 없는 범죄적 사고”로 규정하며 직접 사고 조사를 지시한 바 있다.
한편, 북한은 사고 발생 직후인 22일 오전 동해상으로 순항미사일 수 발을 발사했지만, 이와 관련한 언급은 이날 조선중앙통신 보도에서 찾아볼 수 없었다. 군사적 시위가 사고 국면 전환용이라는 분석도 제기되고 있다.
김·성·일 <취재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