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파손된 구축함 진수식 현장 - 인터넷 캡쳐 |
북한이 청진조선소에서 발생한 신형 5천t급 구축함 진수 사고와 관련해 책임자들에 대한 구속 조치를 단행하며 강도 높은 문책에 나섰다.
조선중앙통신은 25일 "청진조선소에서 발생한 구축함 진수 사고와 관련한 조사 사업이 계속 심화되고 있다"고 전하며, 실무 간부 3명이 구속됐다고 밝혔다.
구속된 인물은 강정철 기사장, 한경학 선체총조립직장 직장장, 김용학 행정부지배인으로, 모두 구축함 건조 및 진수 실무에 깊이 관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조치는 사고 직후 당 중앙군사위원회가 지시한 철저한 책임 규명과 관련자 적발 방침에 따른 것이다. 중앙군사위는 “도저히 있을 수 없는 사고”라고 규정하며, “사고 발생 원인과 책임자에 대한 해명을 명확히 하라”고 지시한 바 있다.
앞서 지난 21일, 김정은이 직접 참석한 가운데 청진조선소에서 신형 구축함의 진수식이 거행됐지만, 진수 과정에서 선체가 기울며 일부가 물에 잠기고 구조적 손상이 발생하는 심각한 사고가 일어났다.
김정은은 이를 "범죄적 행위"로 규정하고, 관련자 전원 처벌과 함께 오는 6월 내 선체 복원 완료를 지시했다.
이에 따라 청진조선소의 최고 책임자인 홍길호 지배인이 지난 22일 법 기관에 소환된 데 이어, 이번에는 실무 책임자급 간부들이 잇따라 구속되는 상황으로 이어졌다.
사고 조사 그룹은 24일 중앙군사위원회에 중간 보고를 마쳤으며, 현재까지 추가 피해는 발견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동시에 현지 복구 추진조가 김 위원장의 지시에 따라 복구 작업을 일정대로 진행 중이라고 덧붙였다.
북한 간부들에 대한 본격적인 처벌이 알려지자 한국자유회의 최이상 기획위원은 “급조된 시스템의 문제를 두고 북한 간부들에 희생양을 강요하는 모습”이라며, “공산 전체주의 사회의 전형을 보고 있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번 사건은 북한이 대대적으로 선전해온 해군력 강화 구상의 상징적 사업에서 중대한 결함이 드러난 사례로, 향후 군수 산업 전반에 대한 추가 감사 및 숙청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김·성·일 <취재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