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터넷 캡쳐 |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6월 25일, 6.25 전쟁 75주년에 즈음하여 “강해지고 또 강해져야 한다”는 제목의 장문의 사설을 게재했다.
그러나 이 글은 전쟁의 참혹함을 반성하거나 평화의 중요성을 되새기기는커녕, 전쟁을 ‘위대한 전승’으로 미화하고 군사력 강화를 정당화하는 선전 일색의 내용으로 가득 차 있다.
북한은 사설 전반에 걸쳐 미국과 국제사회를 ‘원쑤’, ‘제국주의자’로 규정하며, 강력한 무력만이 평화를 지킬 수 있다고 주장한다. “강하지 않았다면 전쟁은 일어나지 않았을 것”이라는 논리는 전쟁 책임을 남 탓으로 돌리는 역사 왜곡이며, 한반도의 긴장 고조에 대한 북한 정권의 책임을 의도적으로 회피하려는 억지다.
특히 김일성과 김정일, 김정은으로 이어지는 3대 세습 독재체제를 ‘국가 수호’의 정당한 근거로 포장하며, 핵무기 개발과 군사력 증강을 ‘절대정의’로 묘사하는 것은 국제사회가 규탄해온 군국주의적 도발의 반복에 불과하다.
전쟁으로 수백만 명의 목숨이 희생된 6.25를 교훈삼기보다는, 다시 그런 비극이 일어나지 않기 위해 ‘강하게 무장해야 한다’는 논리는 평화와 인권에 대한 정면 도전이다.
사설은 한편으로 모든 인민이 국력 강화에 참여해야 한다고 강조하며, 전체주의적 동원을 독려하고 있다. “모든 공민은 참된 애국의 길을 걸어야 한다”, “자력자강의 길만이 살 길이다”라는 주장은 내부 억압을 정당화하고 체제 충성을 강요하는 북한식 ‘총동원 구호’일 뿐이다.
6.25는 한반도 민족 모두에게 깊은 상처로 남은 전쟁이며, 그 교훈은 평화와 화해, 상생이어야 한다. 그러나 북한은 이날조차도 핵과 군사력으로 무장된 ‘강국’을 찬양하는 데 몰두했다.
이는 피해자 코스프레를 하면서 동시에 또 다른 전쟁을 정당화하려는, 위험한 이중적 선동이자 시대착오적 망상에 불과하다.
북한 정권은 더 이상 국민을 위협과 동원으로 몰아넣는 허울뿐인 ‘강성대국론’을 버리고, 진정한 평화를 위한 외교와 개방의 길로 나서야 할 것이다.
차·일·혁 <취재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