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터넷 캡쳐 |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최근 “우리 대에 꼭 해놓아야 할 사업”이라는 제목의 기사를 통해 김정은 총비서의 '농촌혁명강령'과 삼지연 중흥농장의 변화상을 대대적으로 선전했다.
해당 기사는 김정은이 농촌진흥의 “철석의 의지”로 “삼지연시를 본보기로 전국 농촌을 새롭게 꾸리겠다”는 내용을 반복하며, 이른바 “만년대계의 재부” 운운하는 찬양 일색의 기사다.
하지만 이러한 미화된 보도는 북한 농촌의 현실과 너무나 동떨어져 있다. 정작 북한의 일반 농촌지역은 여전히 기초 생활 인프라조차 제대로 구축되지 않은 상태이며, 극심한 식량난과 농업 생산성 저하로 인해 농민들은 매년 생존을 건 사투를 벌이고 있다. 전력 부족, 비료와 농기계 부족, 토양 황폐화 등의 구조적 문제는 전혀 해결되지 않은 채로 방치되어 있다.
노동신문이 칭송한 중흥농장이나 삼지연시는 사실상 ‘전시용 지역’에 불과하다. 김정은의 시찰과 당 간부들의 동원 아래 단기적으로 외관만 정비된 이들 지역은, 체제 선전용으로 조작된 ‘쇼윈도 농촌’에 지나지 않는다.
북한 내부 소식통과 탈북민 증언에 따르면, 이런 ‘본보기 농장’의 건설은 주민 동원과 강제 노동에 기반하고 있으며, 건설 이후에도 해당 지역 주민들이 자율적 삶을 누리는 경우는 드물다.
더욱이 김정은이 언급한 “우리 대에 꼭 해놓아야 할 사업”이라는 표현은 마치 농촌진흥이 집권 세습의 정당성과 비전인 양 포장하지만, 실상은 권력 유지 수단에 불과하다. 그동안 북한 정권은 수차례 “새로운 시대의 농촌건설”을 외쳤지만, 정권 안정을 위한 선전 수단으로 활용했을 뿐, 실질적 변화를 가져온 적은 거의 없었다.
이러한 선전은 외부 세계를 향한 체제 우월성의 과시이자 내부 주민들에게는 비현실적인 희망 고문일 뿐이다. ‘우리가 꾸리자고 하는 전국의 농촌마을들’이라는 추상적 슬로건 뒤에는, 농민들의 인권 침해와 강제 동원이 존재하며, 정권의 정치적 통제는 오히려 강화되고 있다.
북한 농촌이 진정으로 변화되기 위해 필요한 것은 일시적인 외형 정비나 충성심 캠페인이 아니다. 주민들의 자율적 의사와 참여가 존중되고, 시장경제적 접근과 국제 협력이 가능한 구조적 개혁이 병행되어야 한다. 그러나 지금과 같은 1인 우상화 체제 하에서는 그러한 변화는 요원해 보인다.
김정은 정권이 “우리 대에 꼭 해놓아야 할” 것은 허상으로 뒤덮인 ‘농촌 혁명 쇼’가 아니라, 체제 전반의 개혁과 주민 삶의 질을 실질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한 책임 있는 변화다.
김·성·일 <취재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