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터넷 캡쳐 |
북한 노동신문이 최근 발표한 당 제8기 제12차 전원회의 후속 선전화 보도는 북한 당국이 경제적 실패와 민생 붕괴를 가리기 위해 얼마나 심각한 선전·선동에 의존하고 있는지를 여실히 보여준다.
노동신문은 “2025년의 웅대한 목표 실현”을 강조하며, 각종 정치 선전화가 새로 창작되었다고 대대적으로 보도했다. “당중앙위원회 결정 관철에로!”, “생산과 건설의 질을 최대로!” 등 기존의 추상적 구호를 되풀이하는 한편, “과학연구성과를 생산에 도입하자”는 식의 모호한 문구로 경제 난국을 마치 '과학기술로 돌파 가능하다'는 허상을 퍼뜨리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선전물의 반복은 현실과 점점 더 괴리되고 있다. 북한 경제는 국제 제재와 내부 부패, 구조적 비효율로 심각한 침체 국면에 빠져 있으며, 주민들은 만성적인 식량난과 생활고에 시달리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권은 현실적인 해결책 없이 ‘선전화’를 통한 심리적 동원만을 반복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북한의 이번 선전 강화가 다가오는 ‘조선노동당 제9차 대회’를 앞둔 사전 분위기 조성 차원이라고 분석한다. 하지만 문제는, ‘정치적 열의’와 ‘증산투쟁’ 같은 추상적 구호가 노동자들의 삶을 개선하기는커녕 오히려 더 많은 착취와 강요의 근거로 악용된다는 점이다.
특히 이번 보도에서 언급된 “국산화”와 “효과성과 질” 강조는 북한 당국이 외부와의 협력이나 수입 없이 내부 자력갱생만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구시대적 망상에 여전히 집착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는 결국 국가주도의 실험실 경제정책이 실패로 귀결될 수밖에 없다는 사실을 또다시 방증하는 셈이다.
‘선전화’가 인민을 살리는 것이 아니라, 현실 왜곡과 체제 고착화의 도구로 사용되고 있는 북한의 현재 모습은 매우 우려스럽다는 평가다.
진정한 사회 발전은 ‘광고판’이 아니라 투명한 정책, 합리적 개혁, 국제적 협력에서 비롯된다는 사실을 북한 당국은 더 이상 외면해서는 안 된다는 지적이다.
김·성·일 <취재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