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터넷 캡쳐 - 노동신문 14 |
북한 노동신문이 7월 7일 자 기사에서 김일성의 통치 철학을 ‘이민위천(以民爲天)’이라는 숭고한 좌우명으로 포장하며, 그의 일생을 인민과 함께한 “위대한 혁명 생애”로 묘사했다.
그러나 이러한 미화된 서사 뒤에는 수십 년에 걸쳐 체계적으로 구축된 전체주의적 우상화 체제가 존재한다. ‘인민을 위한다’는 말은 정치 선전의 도구로 소비되었을 뿐, 실제 인민의 삶은 그 말과 정반대의 길을 걸었다.
기사에서 반복적으로 강조되는 '이민위천'은 마치 김일성이 인민을 신처럼 섬기며 모든 정책과 행동을 그들의 이익에 맞춰 추진했다는 신화적 서사이다. 그러나 김일성 체제 하에서 수백만 명이 정치적 숙청, 기아, 노동착취, 강제이주 등으로 고통을 받았다.
1990년대 중반 '고난의 행군' 기간 동안 수십만 명이 아사한 것은 김일성 유산이 과연 누구를 위한 것이었는지를 냉정히 되묻게 한다.
실제 김일성 시대의 통치는 ‘인민’의 자율성과 권리를 철저히 무시한 일당독재였다. ‘인민을 하늘처럼 여겼다’는 미사여구는 오히려 정치적 비판을 억압하고 체제를 미화하는 수단이 되었으며, 수령 개인의 우상화로 귀결되었다. ‘하늘’은 결코 비판할 수 없는 존재이기 때문이다.
■ 인민은 주체가 아니라 도구였다
기사는 김일성이 “인민을 스승으로 삼았다”고 찬양하지만, 실제 북한 인민은 독자적 의견을 말할 수 없었고, 모든 정치적 의사결정은 수령을 중심으로 한 권력집단에 의해 독점되었다.
주체사상이라는 정치이념 역시 인민의 자율성과 존엄을 고양하는 데 쓰인 것이 아니라, 당의 권위와 수령의 절대권력을 정당화하는 도구로 활용되었다.
김일성이 “도시가 아닌 시골로 내려가야 한다”고 말했다는 일화는 그럴듯한 민중주의로 포장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대중을 체제에 더욱 깊이 편입시키기 위한 동원 전략이었다.
북한 주민은 자발적인 참여자가 아닌 ‘충성’을 강요받는 동원 대상이었다.
또한 노동신문은 김일성의 생애를 “단 한 번의 로선상 착오도 없이” 진행된 이상적 통치로 미화한다. 하지만 이것은 역사적 사실과는 거리가 멀다.
토지개혁과 숙청, 사회주의적 개편 과정에서 수많은 인명 피해가 발생했으며, 김일성 유일지도체제를 위한 권력투쟁은 사회 전반의 건강한 다양성과 비판의식 자체를 제거했다. ‘로선상 착오’는 없었던 것이 아니라, 결코 인정되지 않았던 것이다.
기사 후반부는 김정은의 통치까지 ‘이민위천’의 연장선에 두며 체제의 정통성과 정당성을 연결한다. 그러나 현실의 북한은 여전히 식량난, 에너지 부족, 국제 고립, 인권 탄압으로 고통받고 있다.
‘과거의 수령이 위대했기 때문에 현재도 옳다’는 논리는 논리적 순환이며, 체제 비판을 원천 봉쇄하기 위한 이념적 방패막이다.
■ '인민'이 사라진 '인민의 나라'
김일성과 그의 후계자들이 그토록 자주 언급하는 ‘인민’은 실제로 목소리를 낼 수 없는 존재, 복종만을 강요받는 존재였다.
북한 정권의 ‘인민 사랑’은 진정한 정치적 책임이 아니라 선전용 이미지에 불과하다. 진정한 ‘이민위천’은 지도자의 미덕이 아닌 제도와 구조, 법과 참여를 통해 실현되어야 한다.
인민이 주체가 아닌 도구로 남아 있는 한, '하늘'은 여전히 허공에 떠 있는 거짓말일 뿐이다.
김·도·윤 <취재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