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터넷 캡쳐 - 노동신문 22 |
북한 노동신문은 7월 16일 자 기사에서 강원도당위원회가 주요 산업현장과 농촌에 "강력한 선전선동력량"을 투입해 당의 결정을 관철하고 있다고 자화자찬했다.
그러나 이 같은 ‘사상공세’는 정작 경제 현실을 개선하지 못한 채, 대중의 고통을 가리기 위한 궤변과 선전의 반복에 불과하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노동신문은 각 시·군에 경제선동대와 강연선전대를 파견해 “북소리를 울리고 진공적인 사상전”을 펼쳤다고 주장한다. 회양군발전소, 지방공업공장, 포전(밭)과 제련소, 시멘트 공장 등에서 ‘혁명적 열의’를 고조시키고 있다는 보도지만, 실질적 생산성 향상이나 민생 개선에 대한 언급은 전혀 없다.
실제로 북한의 ‘집중경제선동’이란 명목의 활동은 마이크와 확성기로 진행되는 정치 구호와 노래, 혁명영화 상영, 형식적 강연에 불과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신심과 용기를 북돋았다”는 표현은 도리어 주민들의 피로와 냉소를 은폐하려는 시도로 읽힌다.
특히 눈에 띄는 것은 ‘모범 강연강사 시범출연’, ‘경험토론’, ‘선전선동부 주도의 실무수준 향상’이라는 표현들이다. 이는 주민의 삶과는 동떨어진 내부 정치기구 간의 실적 경쟁을 보여줄 뿐, 당 결정이 현장에 어떤 긍정적 변화를 가져왔는지에 대한 실증은 결여돼 있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북한식 선전선동이 “정치적 안정성과 충성경쟁을 위한 내부 통제수단일 뿐, 생산 증대나 생활 향상을 위한 정책적 수단은 되지 못한다”고 지적한다. 선동대가 가는 곳마다 마이크 소리는 커지지만, 전기와 물, 식량과 연료는 여전히 부족하다.
주민들은 더 이상 ‘북소리’에 열광하지 않는다. 일터에서는 장비가 멈추고, 시장에는 식량이 줄어드는 가운데, 오직 확성기만이 쉼 없이 당의 ‘결정’을 외치고 있다.
북한 당국은 사상공세로 경제난을 덮으려 하기보다, 주민들의 삶을 실질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구조적 대책 마련에 나서야 할 것이다.
김·도·윤 <취재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