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터넷 캡쳐 - 조선신보 48 |
북한 조선신보가 전한 바에 따르면, 평양시 선교구역 장충1동 62인민반(약 50세대)이 자체적으로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구축해 전력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고 한다.
기사 속 표현은 ‘온 인민반이 전기의 덕을 단단히 보고 있다’는 식으로, 주민 자력 갱생의 모범 사례처럼 포장되어 있다. 그러나 이 보도는 몇 가지 심각한 문제점을 감추고 있다.
‘자력갱생’이 아닌 ‘전력난의 방증’
북한은 수십 년째 만성적인 전력 부족 문제를 겪고 있다. 국가 차원의 안정적인 전력 공급이 가능하다면, 주민들이 개별적으로 태양광 패널을 설치할 이유가 없다.
인민반이 자체 ‘발전소’를 만든 것은 당국의 전력 공급 실패를 상징적으로 드러내는 사례다. 이를 성과로 포장하는 것은, 구조적 문제를 외면하고 주민 부담을 정상화하는 전형적인 선전 수법이다.
보도는 평양건축대학 박사원생의 아이디어로 이 발전 시스템이 만들어졌다고 강조한다. 그러나 북한의 ‘창안’ 보도는 종종 실질적 대량 보급보다는 개인·단위의 임시방편 사례에 불과하다.
과학기술 성과를 홍보하면서도, 정작 국가 전력망 개선이나 대규모 신재생 에너지 개발 계획은 제시하지 않는다.
기사에서 ‘자체로’라는 표현은 자발적 참여를 암시하지만, 실제로는 인민반 단위의 조직적 동원이었을 가능성이 높다. 태양광 패널 구입·설치·관리 과정에서 주민들이 금전적·노동적 부담을 짊어졌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북한식 ‘자력’은 곧 주민의 ‘자비 부담’을 의미하는 경우가 많다.
근본 문제를 가리는 정치적 메시지
북한 매체는 이러한 사례를 통해 ‘자연에너지를 활용하는 모범 인민반’이라는 정치적 메시지를 주입하려 한다. 그러나 현실은 국가 전력망의 노후화, 석탄 발전 의존, 에너지 설비 부품 부족 등 구조적 결함이 여전하다.
주민 태양광 자립이 확대될수록, 이는 오히려 중앙집중식 전력 공급 체계가 붕괴 상태임을 보여주는 역설적 증거다.
이 보도는 ‘태양빛발전체계 구축’을 성과로 포장하지만, 그 이면에는 국가 전력난을 주민 개개인의 책임으로 떠넘기는 북한 체제의 구조적 한계가 있다.
북한이 진정한 에너지 자립을 원한다면, 선전용 ‘인민반 발전소’가 아니라 전력 인프라 전반의 근본적 개혁이 필요하다.
김·성·일 <취재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