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터넷 캡쳐 - 노동신문 49 |
북한 노동신문이 보도한 ‘선천군 일봉리 새집들이’ 기사는 전형적인 체제 미화·선전물의 틀을 그대로 따른다.
기사는 새 주택 건설과 마을 환경 개선을 ‘김정은의 열화같은 사랑’과 ‘사회주의 이상촌 실현’으로 포장했지만, 실제 현실과는 큰 괴리가 존재한다.
북한 농촌은 만성적인 식량 부족, 노후한 주거시설, 불안정한 전력·상수도 문제에 시달리고 있다. 일부 지역에 신축 주택과 시설이 들어서는 경우는 있지만, 이는 전국적 변화가 아니라 보여주기식 ‘시범 마을’ 조성에 불과하다.
이러한 건설 사업은 중앙의 정치 일정이나 기념일에 맞춰 속도전으로 진행되며, 실제 거주자의 생활 편의보다 외형과 선전효과가 우선시된다.
기사 전반은 주거 개선의 공로를 모두 최고지도자 개인에게 귀속시키고 있다. 주민의 세금과 노동력이 투입된 사업조차 ‘지도자의 은혜’로 둔갑시키는 전형적인 우상화 방식이다.
실제로는 지역 건설자와 농민들이 과중한 노동과 동원에 시달리고, 심지어 ‘자재 자급’ 명목으로 개인 부담이 요구되는 경우도 적지 않다.
연설과 토론 내용은 주택 완공을 ‘알곡 증산’과 ‘당 창건 80돌 충성 성과’로 연결시킨다. 주거 환경 개선이 주민의 삶의 질 향상보다 정치적 동원과 생산 목표 달성을 위한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는 농업 기술 혁신과 식량 자급을 위한 구조적 개혁 대신, 단기적 충성 캠페인에 자원을 집중시키는 북한식 행정 패턴을 그대로 드러낸다.
노동신문은 ‘가까운 앞날에 모든 농촌마을이 부유하고 문화적인 사회주의리상촌이 될 것’이라고 주장하지만, 현실은 심각한 양극화와 지역 격차가 존재한다. 일부 전시용 마을을 제외하면, 대부분의 농촌은 여전히 비위생적 환경, 불안정한 식량 배급, 농업 인프라 부족에 시달린다.
북한의 ‘농촌문명’ 보도는 체제 선전과 지도자 찬양이라는 정치 목적에 봉사하는 콘텐츠다. 실제 주민들의 삶을 근본적으로 개선하려면, 주택 건설 몇 채보다 안정적인 식량 생산, 자율적 경제활동 보장, 농업 현대화를 위한 실질적 투자와 제도 개혁이 필요하다.
그러나 북한 당국은 이러한 근본 조치보다 눈에 보이는 건물과 선전 구호에 집착하고 있다.
결국 노동신문이 말하는 ‘나날이 꽃피는 우리식 농촌문명’은, 실상을 가린 채 체제 유지에 필요한 가면 역할을 하고 있을 뿐이다.
김·도·윤 <취재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