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터넷 캡쳐 - 조선중앙통신 50 |
조선중앙통신이 전한 김정은과 블라디미르 푸틴의 8월 12일 전화 대화는 표면적으로는 ‘따뜻한 동지적 분위기’와 ‘전략적 동반자관계 심화’라는 수사로 포장됐다.
하지만 실제로는 두 정권이 국제 고립 속에서 서로의 정치·군사적 이해관계를 확인하고, 이를 대외적으로 과시하려는 의도가 짙다.
북한은 조국해방 80주년을 계기로 ‘붉은군대의 해방’ 이미지를 다시 소환하며 러시아에 대한 ‘역사적 빚’과 ‘충성’을 강조했고, 러시아는 북한의 과거 전쟁 기여를 상기시키며 군사 협력 명분을 쌓았다.
전략적 동반자 조약의 ‘확인’과 그 이면
보도에 따르면 양측은 최근 체결한 ‘포괄적 전략적 동반자 관계 조약’의 정신에 충실하겠다고 재확인했다. 그러나 이 조약은 사실상 러시아의 대(對)우크라이나 전쟁에 대한 북한의 정치·군사적 지지와, 북한의 제재 회피·무기 수출 통로 확보를 제도화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모든 조치 전폭 지지’라는 김정은의 발언은 러시아의 침공 행위나 국제법 위반조차도 문제 삼지 않겠다는 선언에 다름 아니다.
이번 통화는 국제사회에서 고립된 두 지도자가 서로를 외교적 지렛대로 활용하려는 모습이 뚜렷하다. 북한은 러시아와의 밀착을 통해 중국 의존도를 분산시키고, 러시아는 북한의 군수 지원과 정치적 지지를 받아 서방의 제재 압박을 일부 완화하려 한다. 이는 ‘호상 관심사’라는 표현 뒤에 숨은, 각자의 체제 생존을 위한 거래에 불과하다.
동맹이라 부르기 어려운 공생관계
조선중앙통신의 묘사와 달리, 이번 전화 대화는 진정한 ‘국제주의 연대’라기보다 상호 필요에 따른 ‘정치적 거래’의 성격이 강하다.
북한과 러시아 모두 인권·국제법·평화보다는 체제 유지와 전략적 이익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그 대가로 양국은 더욱 깊은 국제적 고립의 늪으로 빠져들 위험이 크다.
김·성·일 <취재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