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백악관 주변에 텐트 친 채 시위하는 시민들 |
미국 수도 워싱턴 DC 도심 곳곳에서 주방위군 병력이 순찰을 시작하며 한동안 보기 힘들었던 군복 차림의 모습이 시민들 눈에 띄었다.
전날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통제불능” 상태의 DC 치안을 연방 정부가 직접 장악하겠다고 선언한 지 불과 하루 만이다.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이날 워싱턴기념탑 인근에 약 12명의 주방위군과 5대의 군용 차량이 출현했으며, 병사들은 임무나 체류 기간에 대한 질문에 답변을 거부했다.
아직 대규모 배치는 아니며 백악관 주변에서는 주방위군이 목격되지 않았다. 반이스라엘 시위대는 여전히 백악관 앞에서 농성을 이어갔고, 관광객들은 평소처럼 사진을 찍고 산책을 즐겼다.
육군 관계자는 주방위군이 주요 기념물 주변과 동남부 애너코스티아 지역의 공원경찰 시설 인근에 배치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현재 병력은 주방위군 본부에 집결 중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기자회견에서 주방위군 800명과 연방수사국(FBI), 마약단속국(DEA), 주류·담배·총포국(ATF) 등 500명의 연방 요원을 투입하겠다고 발표했다.
백악관 대변인에 따르면, 첫날 밤 850여 명의 요원과 경찰이 순찰을 벌여 총기·마약 범죄 등으로 23명을 체포했다.
주민 반응은 엇갈렸다. 일부는 범죄 근절을 위한 강경 조치를 환영하며 “이곳은 더 이상 안전하지 않다”거나 “거리 모퉁이가 마약 노천 시장이 된 현실”을 지적했다. 반면, 특히 아프리카계 주민 중 일부는 “법을 지키는 시민조차 인종 때문에 불이익을 당할 수 있다”는 불안을 호소했다.
뮤리얼 바우저 DC 시장은 “더 많은 경찰 인력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겠다”고 밝히면서도, 연방특별구 신분 때문에 주(州)처럼 대응할 권한이 제한적이라는 점을 지적했다. 그는 X(옛 트위터)에 “이 시점이야말로 워싱턴 DC를 51번째 주로 만들어야 한다는 사실을 깨달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조치는 치안 확보와 권한 문제, 그리고 시민 자유 보호를 둘러싼 논쟁을 동시에 촉발시키며, 워싱턴 DC의 정치·사회적 긴장을 한층 고조시키고 있다.
안·희·숙 <취재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