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터넷 캡쳐 - 조선중앙통신 51 |
북한 김여정 노동당 중앙위원회 부부장이 최근 담화를 통해 “서울의 희망은 어리석은 꿈”이라며 한국의 대북정책과 언론 보도를 비난했다. 하지만 담화의 전반적인 내용과 논리는 북한 특유의 정치 선전과 내부 결속을 위한 여론몰이에 불과하다.
김여정은 로미(북·미) 정상회담 가능성과 관련한 한국 언론 보도를 “허황한 개꿈”이라 규정하며, 미국과의 대화 자체에 의지가 없음을 강조했다.
그러나 이러한 발언은 실제 정책 기조라기보다 협상 판을 주도하려는 북한식 ‘선 긋기’ 전술에 가깝다. 북한은 협상의 문을 닫는 듯한 태도를 취하다가도 필요하면 태도를 바꿔온 전례가 많다.
이번 담화 역시 ‘관심이 없다’는 단호한 표현 뒤에, 언제든 외교 국면을 재설정할 수 있는 여지를 숨겨둔 채 심리전을 펼치는 전형적인 행태다.
김여정은 한국 정부와 군이 전한 ‘북한 확성기 철거 동향’을 강하게 부인하며 “철거한 적도, 의향도 없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북한은 과거에도 대남 확성기 설치·철거 여부를 전략적 필요에 따라 번복해왔다.
이번 부인 발언은 실제 철거 여부를 떠나, 남북 간 ‘상호 조치’로 비칠 수 있는 이미지를 차단하고, 주도권을 쥐려는 의도가 짙다.
담화는 한국 정부가 “유화책”과 “긴장완화 노력”을 미화한다고 비난하며, 실질적인 관계 개선 의지가 없음을 천명했다. 그러나 남북관계가 악화된 근본 원인—북한의 핵·미사일 고도화와 무력도발—에 대해서는 일절 언급하지 않았다. 책임 소재를 의도적으로 왜곡해, 대내외에 ‘남측 탓’ 프레임을 강화하는 것이다.
김여정은 한국을 ‘가장 적대적인 위협 세력’으로 헌법에 영구 명문화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사실상 대남 적대정책을 제도화하겠다는 선언이지만, 국제사회와의 향후 협상에서 ‘헌법 개정’을 협상 카드로 활용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북한은 헌법과 법률도 정치 상황에 따라 신속히 변경해온 전례가 있다.
이번 담화는 남측 정부를 ‘미국의 하수인’으로 규정하며, 18일부터 시작되는 한·미 연합훈련을 빌미로 적대감을 고조시켰다. 이는 내부적으로는 주민 결속을, 외부적으로는 한국과 미국에 대한 압박을 동시에 노리는 전략이다. 담화 속 ‘강경 발언’은 결국 북한식 협상력 극대화를 위한 전형적 도발 수사다.
김여정의 이번 담화는 표면적으로는 한국과의 관계 단절과 적대 고착화를 천명한 듯 보이나, 실제로는 남측과 미국의 대응을 시험하고 협상 국면에서 우위를 점하려는 정치·전략적 계산이 깔려 있다.
‘개꿈’이라는 표현이 오히려 북한 스스로의 이중 전략을 드러내는 역설로 남는다.
김·성·일 <취재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