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오는 9월 3일 중국 베이징에서 열리는 중국 전승절 80주년 열병식에 참석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및 북한 김정은과 나란히 모습을 드러낼 전망이다.
러시아 크렘린궁은 29일(현지시간) 푸틴 대통령의 중국 방문 일정을 공개하며 이같이 밝혔다.
유리 우샤코프 크렘린궁 외교정책 보좌관은 브리핑에서 “푸틴 대통령은 행사 주빈 자격으로 시 주석의 오른쪽에, 김정은 위원장은 시 주석의 왼쪽에 착석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이로써 북·중·러 세 정상이 한 무대에 나란히 앉는 장면이 연출될 것으로 보여 국제사회의 주목을 끌고 있다. 이는 세 나라가 대외적으로 밀착된 모습을 과시하는 상징적 장면으로 평가된다.
우샤코프 보좌관은 또 “중국 방문 중 푸틴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이 회담할 가능성이 논의되고 있다”고 밝혔다. 회담이 성사될 경우, 양 정상은 2024년 6월 이후 약 1년 3개월 만에 재회하게 된다. 앞서 푸틴과 김 위원장은 2023년 9월 러시아 아무르주 보스토치니 우주기지에서 첫 회담을 가진 바 있다.
이번 회담에서는 북·러 군사 협력, 에너지 및 경제 지원 문제, 그리고 미·중 전략 경쟁 속에서의 공조 방안 등이 주요 의제로 다뤄질 것으로 관측된다.
푸틴 대통령은 먼저 톈진에서 열리는 상하이협력기구(SCO) 정상회의에 참석한 뒤 베이징으로 이동해 시진핑 주석과의 정상회담에 임한다. 이어 전승절 열병식 행사에 참석하면서 김 위원장과의 만남을 병행할 가능성이 크다.
또한 푸틴 대통령은 중국 체류 기간 동안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 마수드 페제시키안 이란 대통령,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튀르키예 대통령 등 10여 명의 각국 정상과 양자회담을 진행할 계획이다.
북·중·러 세 정상이 베이징 톈안먼 광장에서 나란히 앉는 모습은 미·일·한 3각 안보 협력에 맞서는 대항축으로 해석될 가능성이 크다. 특히 북한이 국제무대에 다시 등장하는 장면은 대북 제재 국면을 흔들려는 전략적 시도로 비쳐질 수 있다.
이번 전승절 행사는 단순한 군사 퍼레이드가 아니라, 신(新)냉전 구도 속 전략적 균형을 과시하는 외교 무대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전망된다.
김·성·일 <취재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