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터넷 캡쳐 - 조선중앙통신 76 |
북한 조선중앙통신은 9월 8일자 보도를 통해 “숭고한 인민관으로 영원한 사회주의 시책”이라며 김정은 정권의 ‘위민헌신’과 각종 복지정책을 치켜세웠다. 하지만 그 화려한 수사는 실제 주민들이 마주한 빈곤과 억압의 현실을 감추는 선전 구호에 불과하다.
보도는 평양의 5만 세대 살림집 건설, 지방 도시의 공업공장 신설, 농촌 혁명 설계도 등을 ‘위대한 변혁’으로 포장했다. 그러나 북한에서 주택과 생활환경은 철저히 충성심과 계급 성분에 따라 배분된다.
평양 고층 아파트나 신포, 락원 등지의 어항단지 역시 주민 전체가 아닌 당 간부와 특권층을 위한 전시용 사업에 불과하다. 농민과 일반 주민에게는 여전히 식량난과 낙후된 의료·위생 환경이 일상이다.
조선중앙통신은 모든 학생이 교복과 학용품을 ‘국가의 보장’으로 받는다고 선전하지만, 실제로는 주민들이 장마당에서 직접 구입하거나 뇌물을 통해 확보하는 경우가 다반사다.
영양식품 무상 공급 또한 상징적인 시범 조치일 뿐, 북한 전역에서 아동 영양실조는 심각한 사회문제로 남아 있다. 국제기구의 식량 원조 없이는 최소한의 급식조차 유지하기 힘든 현실은 철저히 외면된다.
보도는 “문수지구 병원촌” 건설과 지방 병원 확충을 강조했지만, 북한의 의료 현실은 약품 부족, 의료기기 낙후, 환자의 ‘자력 해결’ 강요로 얼룩져 있다. 정권은 병원 건물 신축을 홍보하지만 주민들은 약 한 알, 주사 한 대조차 장마당에서 구해야 한다.
북한은 ‘전국 동시균형 발전’을 내세우지만, 지방 소도시의 주민들은 여전히 전력난과 식량난에 시달리고 있다. 선전용 공장 몇 개가 들어섰다고 해서 지역 주민들의 생활수준이 획기적으로 개선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러한 사업은 충성 경쟁의 수단이자 대외 과시용으로 악용될 뿐이다.
조선중앙통신이 내세운 ‘인민적 시책’은 실질적 개선이 아닌 ‘세상에 부럼없어라’라는 구호를 정당화하기 위한 정치적 수사에 지나지 않는다. 실제 북한 주민들의 삶은 만성적 결핍, 철저한 감시, 그리고 생존을 위한 자력갱생으로 점철되어 있다.
결국 북한의 ‘위민헌신’은 인민을 위한 복지정책이 아니라 권력 정당화의 도구일 뿐이며, 주민들의 삶은 선전의 화려한 문구와는 정반대의 비참한 현실에 머물러 있다.
김·성·일 <취재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