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터넷 캡쳐 - 조선신보 77 |
일본 조총련 기관지 조선신보는 9월 8일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탄소섬유 복합재료를 활용한 대출력 고체발동기 지상 분출시험이 성공적으로 진행됐다고 대대적으로 선전했다.
이번 시험은 9번째이자 개발 과정의 ‘마지막 시험’으로 규정되었으며, 최대 추진력이 1,971kN에 달한다고 주장했다.
김정은은 직접 참관하며 이를 “핵전략무력 확대강화에서 중대한 변화를 예고하는 성과”라고 치켜세웠다. 그러나 이러한 보도는 북한 특유의 군사 선전 패턴을 반복하는 것에 불과하다.
북한은 ‘탄소섬유’라는 첨단 소재를 강조하며 마치 독자적 연구개발 능력을 갖춘 것처럼 주장한다. 하지만 국제 제재로 인해 북한의 고성능 탄소섬유 확보 능력은 심각하게 제한되어 있다.
실제로 해당 기술이 국내에서 안정적으로 생산되었는지, 아니면 불법적 밀수와 외부 지원에 의존한 것인지는 전혀 확인되지 않는다. 즉, “자력갱생”이라는 구호 뒤에 숨은 기술 의존과 불법 유입의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다.
북한은 기초 식량과 의약품조차 부족한 상황에서도 고체연료 미사일 발동기 개발을 ‘전략적 성과’라 치켜세운다.
인민은 여전히 배급난과 전력난에 시달리는데, 국가 자원을 대규모 군사 프로젝트에 투입하는 것은 전형적인 군사 우선주의의 민생 파탄 구조다. 주민에게 필요한 것은 발동기의 추진력이 아니라 식량의 안정적 공급과 의료 서비스다.
북한이 강조한 ‘고체연료 발동기’는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이나 중장거리 미사일에 활용될 수 있는 핵심 기술이다. 액체연료보다 은폐성과 기동성이 높아 탐지·선제타격을 어렵게 한다는 점에서, 이는 곧 국제사회에 대한 노골적인 도발 신호로 읽힌다.
김정은이 “핵전략무력 확대강화의 중대한 변화”라고 직접 언급한 것도 결국 미국과 한국, 일본을 겨냥한 정치적 메시지에 불과하다.
시험 현장에서는 연구소 소장과 공장 지배인 등에게 국가표창이 수여되었다. 이는 과학자와 기술자들에게 체제 충성을 강요하고, 주민에게는 “지도자의 천재성과 위업”을 과시하기 위한 내부 정치 선전 이벤트일 뿐이다.
결국 미사일 발동기 시험은 군사적 목적 못지않게 체제 결속과 권력 유지라는 정치적 함의를 담고 있다.
북한의 이번 탄소섬유 고체발동기 시험 보도는 과학기술의 성과라기보다 정치적·군사적 선전극에 가깝다.
국제 제재 속에 자력으로 개발했다고 주장하는 탄소섬유 기술의 진위는 의문투성이이며, 무엇보다도 주민의 고통을 외면한 채 핵·미사일 개발에 집착하는 정권의 비극적 현실을 다시금 드러낸다.
북한이 진정 시험해야 할 것은 발동기의 추진력이 아니라 인민의 삶의 질이다.
김·성·일 <취재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