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일본 세키 헤이(石平) 참의원 - 독자 제공 |
중국 공산당이 대만·신장·홍콩 문제와 관련해 공개적으로 비판을 이어온 일본 참의원 의원 세키 헤이(石平, 스핑)에게 제재를 단행하면서 양국 외교 긴장이 급속히 고조되고 있다.
일본 정부는 이를 “용납할 수 없는 억압”으로 규정하며 즉각 철회를 요구했다.
중국 외교부는 9월 8일 세키 의원이 “반중 세력과 결탁해 중국의 내정에 심각한 간섭을 했다”며, 그에 대한 강력한 제재를 공표했다.
제재 내용은 ▲중국 내 자산 동결 ▲중국 기관 및 개인과의 교류 금지 ▲중국 본토·홍콩·마카오 입국 비자 거부 등 세키 의원 본인뿐 아니라 가족에게도 적용된다.
외교부 대변인 린젠은 “중국의 핵심 이익을 침해하는 행위에 대해 단호히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일본 현직 국회의원이 중국으로부터 직접 제재를 받은 첫 사례다.
일본 내각관방장관 하야시 요시마사는 정례 브리핑에서 “중국의 이번 조치는 다른 견해를 가진 인물을 위협하려는 시도로 절대 받아들일 수 없다”며 강력 항의했다. 그는 또한 “국회의원의 언론 자유는 일본 민주주의의 초석”이라고 강조하며, 베이징에 제재 철회를 요구했다.
세키 의원 본인은 X(옛 트위터)를 통해 “중국에 자산도 없고 갈 의향도 없다”며 제재를 “해프닝에 불과하다”고 일축했다. 그는 “중국의 조치는 보편적 가치를 부정하고 일본 내정에 개입하려는 시도”라고 비판했다.
세키는 1962년 중국 쓰촨성 출신으로 베이징대학을 졸업한 뒤 1988년 일본으로 유학, 2007년에 일본 국적을 취득했다. 1989년 톈안먼 사태 이후 중국 공산당 체제에 실망해 꾸준히 비판적 목소리를 내왔으며, 다수의 저서와 언론 활동을 통해 대만, 신장, 티베트, 홍콩 문제를 지적해 왔다.
올해 7월 참의원 선거에서 일본유신회 후보로 당선된 그는 선거 운동 과정에서 “대중 강경 대응”을 공약으로 내세웠다. 이번 제재는 일본 내 대중(對中) 강경 여론을 더욱 부추길 가능성이 크다.
특히, 2022년 베이징 동계올림픽 보이콧을 공개적으로 주장하고, 시진핑의 3연임이 대만 침공 위험을 높일 것이라고 경고한 바 있어 향후 외교적 긴장은 더욱 심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번 사태는 단순히 한 정치인의 제재 문제를 넘어, 일본과 중국의 외교 관계에 새로운 긴장을 불러왔다. 일본 내에서는 중국의 인권 문제와 대외 공세에 대한 비판이 확산되는 한편, 베이징은 내부 결속과 외부 압박 차원에서 강경 노선을 유지하고 있다.
앞으로 일본의 대중 정책이 더욱 강경해지고, 양국 관계가 냉각 국면으로 접어들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장·춘 <취재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