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석방된 한국 근로자들 모습 |
최근 미국 조지아주 배터리 공장 건설 현장에서 한국인 근로자들이 구금을 당한 사건은, 여러가지 이유들이 있겠지만 분명한 것은 한국 정부의 외교적 대응과 사측의 관행에 심각한 하자가 있었던 것이 사실이다.
아울러 미국 구금시설의 열악한 환경, 불투명한 절차, 심지어 연합뉴스의 보도대로 인종적 조롱까지 있었다면 이 또한 외교당국의 강력한 문제 제기와 개선을 요구해야 할 사안이다.
그러나 연합뉴스를 비롯한 민노총 소속 언론노조 매체들의 보도 방향은, 피해자 보호와 외교적 해결을 촉구하는 정상적 태도와는 거리가 멀다. 사건의 본질보다 ‘반미감정’을 부추기고 ‘투쟁 프레임’으로 끌고 가려는 편향성이 두드러진다.
보도는 미국 당국의 부당한 행태를 비판하면서도 동시에 “재발 방지 대책”이나 “정부 외교력의 한계”를 짚기보다, 은근히 미국에 대한 적대심을 부각시키고 있다.
이러한 태도는 단순한 언론 보도가 아니라, 민노총이 주도하는 정치적 구호와 맞닿아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번 사태를 계기로 “반미투쟁”의 동력을 만들고자 하는 선동적 의도가 엿보인다는 지적이다.
피해 근로자들의 안전 귀환과 권리 회복이 가장 중요한 시점에, 이를 이용해 정치적 아젠다를 강화하려는 것은 심각한 도덕적 문제다.
사건의 핵심은 단순 명료하다. 미국 당국의 행정 착오 및 과잉 대응이 있었다면 한국 정부가 강력히 항의하고 제도적 개선을 요구하는 것이 우선이다.
하지만 보도의 초점은 외교적 해결책이나 피해자 보호책 제안이 아니라, 마치 “미국이라는 국가 자체”를 적으로 돌리고 “민중투쟁”을 독려하는 듯한 논조에 맞춰져 있다. 이는 근본적으로 피해자의 고통을 정치적 도구로 삼는 행태에 다름 아닌 것으로 보인다.
언론의 기본적인 사명은 사실 전달과 권력 견제이지, 특정 노조나 정치세력의 ‘투쟁 구호’를 확산시키는 것이 아니다. 근로자들의 인권 침해라는 미확인 사안들을 계기로 반미 구호를 확산시키는 방식은 언론의 본분을 망각한 행태이며, 결국 한국 사회 내 갈등과 분열만 키우는 결과를 낳을 수 있다.
이번 구금 사건은 한국 정부가 미국과 외교적 채널을 통해 근본적 재발 방지 대책을 확보해야 할 문제다. 그러나 연합뉴스를 비롯한 민노총 소속 언론들이 보여준 태도는 피해자들의 권리 회복을 위한 진지한 고민보다는 반미투쟁을 선동하는 데 치우쳐 있다는 평가가 많다.
편향적인 언론이 사건을 ‘투쟁 프레임’으로 재단하는 순간, 피해자들의 목소리는 사라지고, 국민의 안전과 국익은 뒷전으로 밀려날 수밖에 없다.
차·일·혁 <취재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