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독자 제공 |
최근 몇 년간 중국 사회의 어두운 단면을 기록한 영화들이 국제 영화제와 평론계에서 큰 반향을 일으키고 있다.
한국 영화계 관계자들 역시 이 작품들을 단순한 예술작품이 아니라 인권 기록물로 평가하며 관객들에게 널리 알려야 한다는 목소리를 내고 있다.
취작화 국제 영화제 큐레이터 쉬인다오는 “중국의 체제 속에서 고통받는 이들의 현실을 예술로 담아낸 작품들은 단순한 폭로를 넘어, 인류 보편적 가치에 대한 성찰을 요구한다”고 강조했다.
아래는 한국 영화 평론가 허은도와 전문가들이 추천한 대표작 5편이다.
1. 《시대 혁명》 (Revolution of Our Times)
홍콩 감독 저우관웨이가 연출한 이 다큐멘터리는 2019년 ‘반송중(反送中)’ 운동의 전 과정을 기록했다. 평화적 행진에서 격렬한 충돌, 그리고 시민들의 비극적 선택까지, 영화는 홍콩 사회의 집단 저항을 담담한 시선으로 담아냈다.
- 평론 : 허은도는 “국가 권력이 시민을 억압하는 방식과, 그에 맞서 자유를 지키려는 사람 들의 처절한 투쟁을 보여주는 예술적 기록”이라 평가했다. 국제적으로는 ‘홍콩의 역사적 증거’로 불리며 찬사를 받았으나, 한국 개봉 당시에 는 흥행에 실패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며 한국 청년들 사이에서 새로운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다.
2. 《연기에 잠기다》 (Return to Dust)
중국 감독 리루이쥔의 작품으로, 2022년 베를린 영화제 경쟁 부문에 올랐다. 영화는 병고와 빈곤 속에서도 서로를 의지하며 살아가는 농민 부부의 이야기를 그린다.
- 평론 : “중국 농촌 현실을 정직하게 보여주며, 대도시의 화려한 이미지 뒤에 감춰진 진실을 드러냈다. 저비용 독립영화임에도 불구하고 완성도가 높아 필수 관람작”으로 평가된 다. 중국 내에서는 한 달 만에 상영이 중단됐지만, 해외에서는 인권적 문제의식을 담은 수작으로 호평을 받았다.
3. 《구조 요청서》 (Letter from Masanjia)
캐나다 감독 리윈샹이 연출한 다큐멘터리. 미국에서 판매된 장식품에서 발견된 ‘중국 강제노동소 수감자의 구조 요청 편지’가 이야기의 시작이다. 편지를 쓴 이는 파룬궁 수련자 쑨이였고, 그의 용기와 신념이 전 세계에 알려지게 되었다.
- 평론 : 허은도는 “극한 상황 속에서도 진실을 드러내려는 개인의 의지가 세상을 변화시킬 수 있음을 보여준다”고 평했다. 단순한 중국 인권 문제를 넘어, 보편적 자유와 신념 의 가치를 성찰하게 만드는 작품이다.
4. 《장춘》 (Eternal Spring)
캐나다 감독 제이슨 로프터스의 다큐멘터리로, 2002년 중국 지린성에서 일어난 ‘삽입 방송 사건’을 다뤘다. 파룬궁 신자들이 목숨을 걸고 TV 방송을 장악해 진실을 전파한 사건을 인터뷰와 애니메이션으로 재현했다.
- 평론 : “애니메이션 기법을 활용해 관객의 몰입과 공감을 강화했으며, 신념과 정의를 지키 려는 사람들의 순수함이 인상적”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2022년 아카데미 최우수 국 제 영화 후보에도 올랐다.
5. 《전면 감시》 (All Seeing)
네덜란드 화교 감독 펑옌의 작품. 중국 당국이 구축한 빅데이터·AI·얼굴 인식 기반의 초감시 체제를 고발한다.
- 평론 : 허은도는 “중국의 얼굴인식 기술은 세계 최고 수준이지만, 이는 공포정치의 핵심 도 구로 활용되고 있다”며, “영화는 디지털 감옥에 갇힌 민중의 현실을 생생하게 드러낸 다”고 지적했다. 관객들에게 ‘감시 사회의 미래’를 미리 보여주며 깊은 반성을 촉구한다.
이 다섯 편의 영화는 모두 중국 본토에서 개봉이 금지되었다. 그러나 억압과 감시, 빈곤과 자유 투쟁이라는 주제는 특정 국가에 국한되지 않는다. 한국 영화계 전문가들은 “중국 인권 영화는 단순한 폭로물이 아니라, 세계인이 함께 고민해야 할 인류 보편적 문제를 제기한다”며, 한국 관객들의 더 큰 관심과 연대를 촉구했다.
예술적 완성도와 사회적 울림을 동시에 갖춘 이 작품들은, 영화가 단순한 오락을 넘어 인류의 양심을 기록하고 보존하는 강력한 수단임을 다시금 증명하고 있다.
장·춘 <취재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