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터넷 캡쳐 - 조선중앙통신 86 |
조선중앙통신은 9월 17일 진행된 국가학위학직 수여식을 대대적으로 보도하며, 수십 명의 교수와 박사 학위를 받은 지식인들을 나열했다.
그러나 이 행사는 학문적 성과나 학문 공동체의 발전을 증명하기보다, 정권이 체제 충성의 대가로 학문적 권위를 거래하는 전형적인 선전 도구임을 드러내고 있다.
북한이 강조하는 학위와 학직 수여는 학문적 업적에 대한 객관적 평가와는 거리가 멀다. 세계적으로 학문적 성취는 국제 저널의 동료 평가, 연구의 혁신성, 학계의 검증을 통해 입증되지만, 북한 체제는 ‘당에 대한 충성’ 여부를 기준으로 삼는다.
결국 이번 수여식은 지식인들의 연구 성과를 기리는 자리가 아니라, 체제 선전에 동원될 충성 증표를 나누어주는 정치적 행사에 불과하다.
북한 학계는 자유로운 연구와 학문 교류가 원천적으로 차단되어 있다. 국제 학술회의 참여, 해외 연구자와의 협업, 자유로운 자료 접근은 거의 불가능하다. 이런 조건 속에서 수여되는 박사 학위와 교수 직함은 세계적 학문 기준과 단절된 ‘내부용 훈장’일 뿐이다.
북한은 이를 마치 국제적 권위를 지닌 성과인 양 선전하지만, 실제로는 학문적 고립의 증거에 다름아니다.
김정은 정권은 지식인 집단을 단순한 학자나 전문가로 보지 않고, 체제 유지 도구로 활용한다. 학위 수여식을 통해 ‘충성스러운 지식인’을 앞세워 지배 정당성을 강화하고, 젊은 세대에게 “충성하면 출세한다”는 왜곡된 메시지를 주입함은 물론이다.
이는 학문이 사회 발전을 견인하는 원래의 역할을 상실하게 만들고, 결국 지식인들을 정권의 하수인으로 전락시키는 결과를 낳는다.
북한이 아무리 화려하게 학위 수여식을 치른다 해도, 이는 국제 학계에서 인정받지 못하는 ‘폐쇄 체제의 자기 위안’일 뿐이다. 지식인들이 진정한 의미의 학문적 성취와 자유를 얻기 위해서는, 정권 선전에 종속된 가짜 권위가 아니라, 개방과 협력, 자유로운 탐구 환경이 필수적이다.
북한의 이번 국가학위학직 수여식은 체제 미화의 상징적 연출에 지나지 않는다. 학문적 진실성은 배제되고, 지식인들의 자율성은 억압된 채, ‘충성의 보상’만 남아 있다.
북한이 진정한 학문적 진보를 이루려면, 폐쇄와 통제를 버리고 국제 사회와의 자유로운 학문 교류를 회복하는 것부터 시작해야 할 것이다.
김·성·일 <취재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