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독자 제공 |
중국의 새 학기가 시작되자, 저장성(浙江省)을 비롯한 주요 대학들이 학생과 교직원을 대상으로 ‘사이버 보안’과 ‘국가 안보’ 명목의 강력한 인터넷 통제 조치를 시행하고 있다.
“인터넷 장벽을 넘는 행위(소위 VPN 사용)”는 불법으로 규정되고, 온라인상 비판적 발언이나 해외 사이트 접속은 즉각 제재 대상이 되고 있다.
항저우 전자과학기술대학교는 최근 교직원과 학생 전원에게 “인터넷은 법의 사각지대가 아니며, 벽을 넘는 것은 불법”이라는 내용의 문자와 이메일을 일제히 발송했다. 통지문은 《네트워크 보안법》과 《컴퓨터 정보 네트워크 국제 네트워크 관리 임시 규정》 등을 인용하며 “당과 국가 지도자를 공격하거나 정치적 소문을 퍼뜨리거나 불법 활동을 선동하는 발언을 삼가라”고 경고했다.
저장성의 또 다른 대학 학생 야오(姚) 씨는 기자에게 “국경절을 앞두고 거의 모든 대학이 인터넷 발언을 제한하라는 지시를 내렸다”고 전했다. 그는 “지도자 사고나 학생 자살 같은 소문도 언급하지 말라는 식이다. ‘공산당을 욕하지 말라’, ‘가난하다는 말도 하지 말라’는 식으로 사실상 언론통제 수준”이라고 말했다.
각 대학 당위원회 사무실은 교원과 지도교수에게도 ‘학생의 인터넷 사용 상황’을 점검할 것을 요구했다. 한 내부 문서에는 “2025년 7월, 한 학원 학생이 불법 온라인 활동으로 공안기관의 보전조치를 받았다”는 사례가 구체적으로 언급되어 있다. 이는 명백한 경고 신호로, 교직원과 학생 모두가 ‘감시의 시선 아래 있다’는 점을 주지시키는 효과를 노린 것으로 보인다.
문서는 또한 QQ·위챗 등 소셜 플랫폼 내에서 “부적절한 발언이나 전파를 금지하고, 학교 공식 그룹 외의 네트워크 커뮤니티에 참여하지 말 것”을 강조했다. ‘허위 정보’를 자발적으로 차단하라는 지침까지 포함되어 있어, 학생들 스스로 ‘검열의 조력자’로 만드는 분위기다.
저장대 학생 류샤오치(가명)는 “더우인(중국 틱톡)이나 위챗에서 부정적인 뉴스를 공유하면 안 되고, 친구가 그런 글을 올리면 학교에 신고해야 한다”고 증언했다. 그는 “VPN을 써서 외신을 보면 바로 문제 된다”며 “대학이 보안처를 통해 감시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러한 정책은 표면적으로는 ‘국가 안보 강화’를 내세우지만, 실제로는 대학 구성원의 표현의 자유를 전면적으로 제한하는 ‘사이버 충성 교육’의 일환으로 분석된다. 특히 2024년 이후 중국 당국이 대학 내 ‘이념 교육 강화’를 강조하면서, 온라인 공간까지 사상 검열의 영역으로 편입시키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조치가 “중국 대학의 자유 교육 전통을 완전히 소멸시키는 흐름”이라고 지적한다. 베이징 출신의 전직 교육자 장(張) 씨는 “대학은 비판적 사고를 길러야 하는 공간이지만, 지금은 ‘감시와 복종의 실험실’이 되어가고 있다”며 “당국이 젊은 세대의 온라인 의식까지 장악하려는 것은 체제 불안의 징후”라고 말했다.
실제로 시진핑 정부는 ‘국가안보 교육의 전면화’를 명분으로, 교실과 인터넷, 심지어 학생의 개인 기기까지 감시 대상에 포함시키고 있다. ‘사이버 보안’이라는 말이 ‘정권 보안’을 뜻하게 된 셈이다.
결론적으로, 중국 대학의 새 학기 풍경은 ‘교육의 계절’이 아니라 ‘검열의 계절’이다. VPN 차단과 온라인 감시를 통해 학생들의 자유로운 사유와 표현이 통제되는 현실은, 중국 사회의 ‘사이버 만리장성’이 더 높아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장·춘 <취재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