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터넷 캡쳐 - 조선신보 104 |
조선신보는 “조선에서도 자기 나라의 고유한 문화와 전통을 직관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민속관광이 장려되고 있다”며 평양관광대학 관계자의 발언을 인용했다.
김치담그기, 전통의상, 태권도, 예절, 민속음악 등 다양한 ‘민속풍습’을 관광자원으로 제시했지만, 이 기사는 사실상 북한이 처한 경제난과 외화부족을 가리기 위한 선전용 포장에 불과하다.
북한의 이른바 ‘민속관광’은 주민의 문화적 자율성에서 비롯된 자생적 활동이 아니라, 철저히 중앙당의 통제 아래 계획된 외화벌이 산업이다. 체험형 관광으로 포장된 행사는 대부분 외국인 대상 정치선전의 연장선이며, 주민은 연출된 ‘전통 생활’의 배우로 동원된다. ‘민속’이라는 말이 의미하는 ‘민중의 삶’은 사라지고, ‘국가가 연출한 전통 쇼’만 남았다.
북한의 ‘김치담그기 풍습’이나 ‘조선옷차림 풍습’은 유네스코에 등재된 세계무형유산이지만, 실질적 보존보다는 정치적 장식물로 이용된다. 당국은 김정은을 ‘전통 계승의 보호자’로 부각시키며, 전통문화의 의미를 왜곡해 체제 정당화의 도구로 삼고 있다. 관광객이 보는 ‘전통결혼식’이나 ‘명절놀이’에는 주민의 자유로운 참여가 없다. 모든 행사는 선전당국의 시나리오에 맞춰 ‘충성의 열기’와 ‘사회주의 미풍양속’을 강조하도록 짜여 있다.
결국 이들이 말하는 ‘민속관광’은 관광산업이 아니라 ‘충성 퍼포먼스 관광’이다. 김정은의 지시로 건설된 관광지마다 ‘위대한 당의 은정’이 강조되며, 문화유산은 체제미화의 무대로 전락한다.
북한은 최근 경제 제재와 내부 식량난이 심화되자, 문화관광을 외화벌이 수단으로 적극 활용하려 하고 있다. 외국인에게는 ‘평화롭고 전통적인 조선의 모습’을 보여주며, 내부적으로는 ‘우리식 생활의 우월성’을 선전하는 이중 전략이다.
그러나 관광객에게 보여지는 ‘민속촌’은 철저히 관리된 공간이며, 주민의 생활현실과는 거리가 멀다. 농촌의 ‘민속생활체험’ 뒤에는 여전히 전력난, 식량배급 중단, 주민감시가 이어진다.
‘민속관광’의 장려는 결국 북한 체제의 국제 이미지 세탁을 위한 외피다. 진정한 문화보존과 관광산업 발전은 개방과 자유로운 교류 속에서만 가능하다. 그러나 북한의 ‘민속관광’은 여전히 폐쇄와 선전의 틀 안에 묶여 있다.
민속은 한 사회의 생활과 정서를 담는 살아있는 전통이다. 그러나 북한에서 그것은 주민의 자발적 문화가 아니라, 정치적 무대장치로 전락했다. 김정은 정권이 내세우는 ‘민속관광’은 문화의 다양성을 억누르고, 인민을 선전의 도구로 삼는 또 하나의 ‘체제 관리 사업’일 뿐이다.
북한이 진정으로 세계에 보여줄 수 있는 문화는 가식적인 공연이 아니라, 인민이 자유롭게 노래하고 춤출 수 있는 진짜 삶의 문화일 것이다.
강·동·현 <취재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