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독자 제공 |
중국 당국이 비공식 기독교 단체인 ‘시온교회’를 겨냥한 대대적인 단속을 벌여 목사와 신도 약 20명을 체포했다.
이번 조치는 종교의 자유를 보장한다는 중국 헌법의 명문과는 달리, 공산당의 통제 밖에 있는 종교 활동을 사실상 불법화하는 실상을 다시 한 번 드러냈다.
AFP통신은 13일 베이징발 보도에서, 경찰이 광시(廣西) 지역에서 시온교회의 창립자 김명일(Ezra Jin) 목사와 약 20명의 교인들을 체포했다고 전했다. 김 목사는 2007년 시온교회를 설립했으며, 이 교회는 중국 내에서 가장 큰 미인가 개신교 조직 중 하나로 약 1,500명의 신도가 참여하고 있다.
체포된 김 목사는 ‘정보 네트워크 불법 사용’ 혐의로 구금된 상태다. 이는 중국 당국이 종교적 표현 활동을 ‘온라인 불법 정보 유포’로 규정하는 전형적인 법적 프레임이다.
김 목사의 딸 그레이스 김은 현재 미국에 거주 중이며, “이번 사태는 종교의 자유에 대한 의도적인 공격”이라며 “지난 금요일 이후로 가족은 아버지의 생사 여부조차 확인하지 못했다”고 호소했다.
시온교회 미국 주재 목사 숀 롱(Shawn Long)도 “우리는 범죄자가 아니라 단지 기독교인일 뿐”이라고 밝혔으며, “2018년 교회가 해산된 이후에도 온라인과 소규모 모임을 통해 신앙 공동체를 유지해왔다는 이유로 당국의 미움을 샀다”고 지적했다.
중국 헌법은 종교 신앙의 자유를 명시하고 있지만, 실제로 모든 종교 단체는 정부가 승인한 ‘국가 종교협회’ 산하에 등록해야 한다. 이 구조를 벗어난 종교 활동은 원칙적으로 불법이다.
최근 몇 년 사이, 정부의 허가를 받지 않은 가정교회와 소규모 개신교 단체들이 전국적으로 확산되면서 당국의 경계심이 커졌다. 시온교회는 2018년 공식적으로 해산됐지만, 이후 Zoom을 이용한 온라인 예배와 중국 40여 도시의 소규모 모임으로 재편되었다.
중국은 9월, 종교 관련 온라인 활동을 전면 통제하는 새 규정을 발표했으며, 위챗(WeChat) 등 플랫폼에서 ‘라이브 설교’를 금지했다. 이는 사실상 종교 활동의 디지털 공간까지 봉쇄하는 조치로 해석된다.
미국 국무장관 마르코 루비오는 “중국 공산당이 미등록 교회 신자들에 대한 적대감을 다시 드러냈다”며 “체포된 모든 기독교인을 즉각 석방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에 대해 중국 외교부 대변인 린젠은 “관련 상황을 알지 못한다”면서도 “미국이 종교 문제를 구실로 중국 내정에 간섭하는 것을 단호히 반대한다”고 반박했다.
이번 시온교회 단속은 최근 이어지고 있는 기독교 단체 탄압의 연장선이다. 지난 5월 ‘시온의 빛 교회’ 고천복 목사가 “사법 질서 파괴” 혐의로 구속됐으며, 6월에는 ‘금등대 교회’의 양룽리 목사가 사기죄로 15년형을 선고받았다.
국제 인권단체들은 중국 내 종교 자유 상황이 2018년 이후 지속적으로 악화되고 있다고 지적한다. 종교 지도자와 신자들이 ‘사회질서 교란’, ‘불법 집회’, ‘사기’ 등의 혐의로 체포되는 일이 반복되고 있으며, 이번 시온교회 사건은 그러한 국가 차원의 종교 탄압이 여전히 진행 중임을 보여준다.
시온교회 관계자들은 “박해는 우리의 믿음을 약화시키지 못할 것”이라며, “지하와 온라인에서라도 예배를 이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중국 내 종교 자유 문제는 단순한 신앙의 문제가 아니라, 공산당 체제가 ‘시민사회의 자율적 결사’를 어떻게 적으로 인식하는가를 보여주는 상징적 사례로 평가된다.
장·춘 <취재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