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트럼프 미국 대통령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인도가 러시아산 석유를 더 이상 구입하지 않기로 약속했다고 밝혔다. 이는 러시아의 전쟁 자금 흐름을 차단하겠다는 의지와 함께, 중국을 향한 새로운 압박 수단으로 해석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15일(현지시간) 백악관 기자회견에서 “나는 인도가 러시아 석유를 사는 것에 불만이었다. 그러나 오늘 나렌드라 모디 총리가 ‘이제 러시아산 석유를 사지 않겠다’고 약속했다”고 말했다. 그는 “그것은 ‘큰 차단(big block)’이다. 이제 중국도 같은 일을 하게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트럼프 행정부는 줄곧 중국과 인도가 러시아산 석유를 수입함으로써 우크라이나 전쟁을 지원하고 있다고 비판해왔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조치가 인도에 대한 ‘관세 압박 정책’의 성과라고 주장하며, “인도가 러시아산 석유를 계속 사서 관세를 50%까지 올렸지만, 결국 그들이 굴복했다”고 강조했다.
이 발언은 중국에 대한 직접적인 경고로도 읽힌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이 계속 러시아 에너지에 자금을 대는 것은 받아들일 수 없다”며 “이제 중국도 인도처럼 행동해야 한다”고 말했다. 미국 내에서는 이를 ‘제2의 에너지 제재 전선’으로 보는 시각도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베네수엘라발 마약 운반선을 미 해군이 잇따라 격침한 사건과 관련해, ‘육상(지상) 차단 작전’ 가능성도 공개적으로 언급했다.
그는 “우리는 해상으로 들어오는 마약을 거의 완전히 막았다. 이제 육로를 막을 것”이라며 “지금 육상 타격을 분명히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국제법 위반 논란에 대해서는 “선박을 격침한 것은 거친 방법이지만, 3명을 잃고 2만5천 명을 구하는 일”이라며 “그들은 마약으로 미국 국민을 죽이고 있는 자들”이라고 반박했다. 이 같은 언급은 트럼프 행정부가 ‘마약과의 전쟁’을 군사행동 차원으로 끌어올릴 수 있다는 신호로 해석된다.
트럼프 대통령의 연이은 발언은 미국이 향후 대외정책 전선을 에너지·안보·마약 통제 등 복합 영역으로 확장할 가능성을 보여준다. 인도에는 경제적 압박을 통한 ‘친미 유도’를, 중국에는 러시아 제재 동참을 요구하는 ‘외교적 경고’를 던진 셈이다. 동시에 남미에서는 베네수엘라 정권을 겨냥한 ‘군사적 위협 수위’를 높이는 양상이다.
이는 2024년 재집권 이후 트럼프 행정부의 대외정책이 “강압적 현실주의(coercive realism)”로 수렴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단면으로 평가된다.
안·희·숙 <취재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