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터넷 캡쳐 - 조선신보 118 |
북한이 최근 “2025년 위포국가상 수상자”로 김일성종합대학 신계룡 실장과 목성대외건설경제기술협조사 조선옥 사장을 발표했다.
조선신보는 이를 두고 “지적재산 창조로 경제·과학·문화 발전에 기여한 인물”이라며 대대적으로 선전하고 있지만, 실상은 국제협력의 외피를 쓴 자급자족 체제의 ‘정당성 포장’에 불과하다.
‘위포(WIPO)’는 세계지적소유권기구(World Intellectual Property Organization)를 뜻하지만, 북한이 언급하는 ‘위포국가상’은 실제로 WIPO 본부(제네바)가 수여하는 공식 글로벌 상과는 무관한 ‘회원국 단위 기념 시상’ 수준에 불과하다.
북한은 이를 ‘국제수상’으로 포장해 외부에 과학기술 강국 이미지를 부각시키려 하지만, 정작 국제특허·표준등록·논문인용 등 객관적 성과지표는 전무하다.
특히 김일성종합대학이나 목성경제기술협조사는 국내 연구물조차 국제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되지 않는다. 북한 내부 언론이 “경제와 과학기술 발전에 기여했다”고 반복하는 표현은 과학적 검증이 아닌 ‘충성 경쟁의 서열화’를 위한 정치적 수사일 뿐이다.
북한은 수년째 ‘지적재산’과 ‘창의기술’을 결합한 선전 노선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핵심 과학기술 인력은 여전히 국제 학술 교류나 상용 기술 접근이 차단된 상태이며, 내부적으로는 인터넷 접근조차 제한된 ‘봉쇄형 연구체제’에 놓여 있다.
이러한 환경에서 탄생한 특허나 기술이 실질적으로 경제에 기여한다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 결국 이번 ‘위포국가상’은 과학이 아닌 정치적 충성의 보상 체계이며, ‘혁신’이 아니라 ‘자력갱생 신화’를 재확인시키는 의례에 불과하다.
북한 당국은 매년 “과학기술 인재를 높이 평가한다”는 구호를 내세우지만, 실제로는 당의 계획경제와 충성 체계 속에 철저히 종속된 ‘기술봉사자’로 취급한다. 수상자는 개인의 연구 성과보다 당의 정책 수행 여부로 평가받으며, 국제협력 대신 ‘주체적 기술노선’이라는 미명 아래 모든 기술 이전과 교류가 통제된다.
그 결과, 과학기술의 발전은 사회 전체의 혁신으로 이어지지 못하고, 상훈 제도는 체제 결속을 강화하는 ‘기술 엘리트 충성 관리 시스템’으로 전락하고 있다.
조선신보의 이번 보도는 ‘세계지적소유권기구’라는 국제기구 명칭을 이용해 국제 인정을 가장한 내부 선전을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 WIPO 본부의 공식 발표나 수상자 명단 어디에도 북한의 이름은 없다.
결국 이른바 ‘위포국가상’은 국제무대의 기술 경쟁에서 고립된 북한이 “우리도 세계의 일원”이라는 착시를 조성하기 위한 자가 선전용 이벤트에 불과하다.
김일성종합대학과 목성경제기술협조사의 인물들이 ‘2중 위포국가발명가상’을 받았다는 소식은, 외부 세계에는 아무 의미 없는 ‘자화자찬의 상훈’이다.
북한은 진정한 과학 발전의 길이 개방과 검증, 그리고 자유로운 지식교류에 있음을 외면한 채, ‘국제협력’을 가장한 내부 결속용 이벤트로 과학자들을 소모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북한이 내세우는 ‘국가상’은 더 이상 과학의 명예가 아니라, 폐쇄적 체제 선전의 한 장식품에 지나지 않는다.
김·성·일 <취재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