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북한인권의 날 행사에 참석한 안창호 국가인권위원장과 이경복 회장 등 기념사진 |
세계 최초이자 유일한 ‘북한인권의 날(Human Rights in North Korea Day, HRNK Day)’이 올해로 12주년을 맞이했다.
이 행사는 2013년 9월 28일 공식 지정된 이후 매년 캐나다에서 열리고 있으며, 북한의 참혹한 인권 실태를 상기하고 개선을 촉구하는 상징적 인권기념일로 자리 잡았다.
‘북한인권의 날’의 탄생 배경에는 캐나다 토론토에 거주하는 북한인권운동가 이경복(Kyung B. Lee) 회장의 오랜 헌신이 있다. 1973년 캐나다로 이주해 공인회계사로 활동하다 은퇴한 이경복 회장은 2000년부터 본격적으로 북한인권운동에 뛰어들었다.
그는 1997년 황장엽 전 노동당 비서의 망명 이후 ‘황장엽씨의 자유를 위한 모임(황자모)’을 결성하고, 탈북 난민의 강제북송 반대 서명운동을 주도했다.
2012년 추석 무렵, 캐나다의 인권운동가 Sheng Xue 여사의 자택 모임에서 이 회장은 당시 복합문화장관 제이슨 케니(Jason Kenney)에게 탈북난민 관련 청원서를 전달했다. 이 청원이 계기가 되어 이듬해 9월 28일, 캐나다 의회가 공식적으로 ‘북한인권의 날’을 지정하게 되었다.
“북한 해방의 날이 되기를” - HRNK Day의 의미
이경복 회장은 이날 기념행사에서 “북한인권의 날은 북한 주민들이 겪는 참상을 잊지 않고, 이를 전 세계에 알리며, 개선을 위해 압박을 가하기 위한 날”이라며 “언젠가 이 날이 ‘북한 해방의 날’로 바뀌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그는 또 “북한 주민의 권리와 자유는 여전히 철저히 억압되고 있다”며 “북한의 우상체제와 감시체제는 인간의 존엄을 철저히 짓밟는 노예체제”라고 강조했다.
 |
| 북한인권의 날 행사에 참석한 캐나다 교포들의 모습 |
악화되는 북한 인권, 무기력한 국제사회
올해 기념식은 유엔이 최근 발표한 북한인권보고서에서 “북한의 인권상황이 개선은커녕 더욱 악화되고 있다”고 평가한 시점과 맞물려 그 의미가 더욱 컸다.
이경복 회장은 “2014년 유엔 북한인권조사위원회(COI)가 권고한 이후, 국제사회는 최악의 환경에 직면해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한국에서는 종북·친중 정권이 등장해 반(反)인권적 행태를 보이고, 미국은 북한인권법 재승인조차 미루고 있으며, 캐나다 역시 2015년에 제안된 북한인권법이 아직도 진척이 없다”고 비판했다.
특히 이번 행사에는 대한민국 국가인권위원회 안창호 위원장이 참석해 격려사를 전하며 “북한인권 개선은 인류 보편의 과제이자 한국 사회의 책무”라고 강조했다.
‘권리와 정의(Rights and Justice)’를 주제로 한 포럼
기념식에 이어 열린 포럼에서는 ‘권리와 정의(Rights and Justice)’라는 주제를 중심으로 활발한 토론이 진행되었다.
이경복 북한인권협회 회장과 강동완 동아대 교수가 대담 형식으로 좌담을 진행했고, 신희석 UN 자의적구금작업반(WGAD) 위원, 송재윤 맥매스터대 교수 등이 발표자로 나섰다.
강 교수는 직접 국경 지역에서 촬영한 사진을 통해 북한 주민들이 겪는 실상을 소개했다. 그는 “북한은 우상화된 감시체제와 수용소적 통제구조로 유지되는 노예사회”라며 “이런 체제에서 사법정의란 존재하지 않는다. 법 위에 ‘지도자 교시’가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경복 회장은 “더 충격적인 것은 한국 정부가 이런 체제를 ‘존중’한다고 말하고, 탈북민을 ‘북향민’으로 부르려는 시도를 한다는 점”이라며 “이러한 발언은 북한의 인권범죄를 사실상 묵인하는 것”이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그는 “지금의 한국 정부는 대북정책뿐 아니라 법치의 영역에서도 중국과 북한의 전제체제를 닮아가고 있다”고 우려했다.
인권의 기억에서 자유의 약속으로
12주년을 맞은 ‘북한인권의 날’은 단순한 기념일을 넘어, 자유와 정의를 향한 국제사회의 양심을 일깨우는 날로 자리매김했다.
이경복 회장은 “북한 주민이 자유를 누리는 그날, 이 날은 ‘북한 해방의 날’로 불릴 것”이라며 “그날이 오기 전까지, 우리 모두의 연대와 증언이 멈추지 않아야 한다”고 강조함으로써, 전세계 북한인권 운동에 큰 울림을 던지고 있다.
장·춘 <취재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