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인터넷 캡쳐 - 조선신보 127 |
조선신보는 재일본조선도쿄도상공회의 결성 80주년을 “성대히 진행된 축하연”이라 보도하며, 총련(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 산하 경제조직의 ‘영예로운 역사’를 강조했다.
하지만 이 화려한 행사 뒤에는 급격히 약화된 총련 경제기반과, ‘동포상공인제일주의’라는 구호로 포장된 정치적 동원 구조가 자리 잡고 있다.
도쿄 게이오플라자호텔에서 열린 이번 행사는 약 400명이 참가했다고 전하지만, 실제 참석자 대부분은 총련 각급 간부, 친북 단체 관계자, 조선학교 교직원 등 내부 인사들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는 ‘경제단체의 자율적 기념행사’라기보다, 체제 충성 의례에 가까운 행사임을 보여준다.
조선신보는 이번 행사를 “동포상공인제일주의를 구현한 경제단체의 결실”이라 찬양했지만, 이 구호는 본질적으로 상공인에 대한 ‘정치적 통제의 미화’다.
총련의 경제조직들은 자율적 상공회라기보다, 조선중앙의 지침에 따라 외화벌이·송금·기부금 조달을 담당해온 준국가적 조직이었다. 실제로 일본 내 총련 상공회들은 1990년대 이후 북송사업, ‘애국기금’ 납부, ‘애국상공인 표창제도’ 등을 통해 상공인들의 경제활동을 정치적으로 예속시켜왔다.
‘동포상공인제일주의’란 표현은 상공인의 권익을 보호한다기보다, 경제인을 체제 유지의 도구로 활용해온 총련 구조를 미화하는 선전용 슬로건에 불과하다.
도쿄도상공회는 한때 재일 조선인 경제활동의 중심으로 기능했지만, 현재는 일본 내 2세·3세 상공인들이 대부분 일본 사회로 통합되며 실질적 기반을 잃었다.
조선신보는 “80년의 자랑스러운 역사”를 강조했지만, 실제로는 상공회의 회원 수가 급감하고, 회비 납부나 사업 연계 활동도 사실상 형식적으로 유지되고 있다. 특히 젊은 세대는 북한 경제와의 연계에 회의적이며, 총련 조직과의 거리를 두고 일본 내 현지 상공회나 시민단체를 선택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이는 ‘80주년 기념식’이야말로 과거의 영광을 상징적으로 붙잡으려는 시도임을 방증한다.
조선신보 보도는 “조일우호단체 관계자들이 참가했다”고 강조했으나, 이는 일본 내 좌파 성향 단체 및 소수 친북 인사들의 참여를 과장한 것이다.
이러한 ‘국제 우호 이미지’ 연출은 북한이 대외적으로 경제협력의 정당성을 확보하려는 선전 전략의 일환이다. 총련 경제조직의 행사들은 단순한 교민 경제활동이 아니라, 대북 제재 하에서 외화 조달 및 체제 선전의 창구 역할을 수행하는 정치 이벤트로 기능하고 있다.
재일본조선도쿄도상공회의 80주년은 과거 조선상공인들의 자립정신을 기릴 계기였을 수도 있다. 그러나 총련의 정치적 지배구조와 북한 정권의 통제 속에서, 상공회의 명맥은 ‘충성사업의 무대’로 전락했다.
조선신보가 말하는 “동포상공인제일주의”는 결국 ‘체제충성 우선주의’**의 다른 이름이며, 오늘의 상공인들이 진정으로 바라는 것은 북한 당국의 승인이나 표창이 아니라 자유롭고 투명한 경제활동의 공간일 것이다.
김·도·윤 <취재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