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독자 제공 |
최근 서방 정보기관에 따르면, 이란은 United Nations(UN)의 제재 재개 선언 이후 중국으로부터 미사일 핵심 원자재를 신속히 대량 수입하며 군비 재건을 본격화했다는 정황이 포착됐다.
여러 정보출처가 지목하는 이 물질은 고체연료형 미사일 추진체 제조에 필수적인 과염소산나트륨(sodium perchlorate) 등이다.
미 정보기관 및 유럽 정보원에 따르면, 아바스항(Bandar Abbas) 등 이란 남부 항구에 9월말부터 과염소산나트륨 화물이 입항하기 시작했다. 특히 Office of Foreign Assets Control(OFAC)는 중국·이란 기반의 복수 기업이 이란의 미사일 추진제 재료 확보를 지원한 네트워크에 대해 제재 조처를 취한 바 있다.
이란의 미사일 고체연료용 추진제에서 과염소산나트륨 등 산화제가 차지하는 비중이 큰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번 중국발 수송 규모만으로도 수백 기의 미사일용 추진체 제조가 가능하다는 분석이 존재한다.
한편, UN 안보리가 규정한 UNSC Resolution 2231(2015) Annex B에는 ‘핵무기를 운반할 수 있는 탄도미사일과 관련된 활동을 하지 말라’는 조항이 포함되어 있다.
UN 차원의 미사일 관련 제재는 2023년 말부터 종료됐다는 분석이 있다. 실제로 UN 제재가 만료된 뒤 이란 미사일 관련 활동을 둘러싼 감시·제재 공백이 제기된 바 있다. 그러나 미국 및 유럽 측은 독자 제재 체계를 유지하며 이란의 미사일 재료 조달 활동을 주시해왔다. 이번 사안에서는 중국이 사실상 이란의 ‘미사일 추진제 공급처’ 역할을 한 정황이 짙다는 평가가 나온다.
중국과 이란 사이에서 이뤄진 것으로 보이는 대량의 미사일 추진제 전구체 수송 의혹은 단순한 제재 회피를 넘어, 이란의 군사능력 회복을 가속화할 수 있는 중대한 안보사안이다.
UN 제재 틀이 약화된 현재, 공급망을 통한 은밀한 재료 이전이 얼마나 실제 미사일 생산으로 이어질지, 그리고 이를 방지하기 위한 서방 및 국제사회의 대응이 얼마나 효과적일지 주목된다.
장·춘 <취재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