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인터넷 캡쳐 - 조선중앙통신 128 |
북한이 “보건혁명”의 상징으로 내세운 강동군병원 완공 소식은 겉으로는 체제의 ‘인민사랑’과 ‘지방진흥’의 결실로 포장되고 있으나, 실제로는 김정은 체제가 추진하는 정치적 이미지 관리의 일환에 불과하다.
의료현대화를 강조한 이번 시찰 보도는 ‘사회주의 문명국가’의 허상을 유지하기 위한 전형적인 정치연출로 읽힌다.
조선중앙통신은 김정은이 병원의 입원실, 수술실, 지하주차장까지 세밀히 돌아보며 “보건혁명의 확대발전”을 지시했다고 보도했다. 그러나 북한의 보건 현실은 의약품 부족, 낙후된 의료장비, 만성적인 전력난으로 인해 기본 진료조차 어려운 상황이다.
이번 병원 역시 실질적 의료개선보다 건축 외형과 ‘첨단화’ 구호에 치중한 선전용 프로젝트로, 평양의 대규모 건설사업과 마찬가지로 주민 동원과 과잉투자를 동반한 ‘정치건설’의 성격이 짙다.
김정은이 “매년 20개 시·군에 현대적 병원을 건설하겠다”고 밝힌 발언은 현실과 동떨어진 선전이다. 지방의료 인프라는 의사 부족과 약품 공급난으로 사실상 마비된 상태이며, 병원보다 더 시급한 문제는 의료 인력 재교육과 기본 위생환경 개선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북한 당국은 ‘보건혁명’을 정치적 수사로 활용하며, 김정은의 ‘인민사랑’을 부각시키는 선전 프레임을 강화하고 있다.
강동군병원은 최근 노동신문과 중앙통신이 강조하는 “지방진흥 20×10 정책”의 전시용 모델이다. 김정은은 이를 “당정책의 생활력 증명”으로 포장했지만, 실상은 전력·교통·의료 인프라가 함께 구축되지 않은 상태에서 ‘병원 건물만 완공되는’ 비현실적 구조가 반복되고 있다.
결국 지방건설의 성과는 숫자와 일정 중심의 선전자료로만 남을 가능성이 높으며, 실제 의료서비스 향상으로 이어질 가능성은 극히 낮다.
김정은의 이번 시찰은 북러 밀착과 군사협력 강화 속에서 대외적으로 ‘인민 복지에 헌신하는 지도자’ 이미지를 재조립하려는 정치공학적 행보로 해석된다. 전쟁 위협과 제재 강화 속에서도 “보건부문 발전”을 내세우는 것은 체제의 도덕적 정당성을 확보하려는 계산이다.
그러나 이러한 선전은 의료 현실의 빈곤, 인민의 고통, 구조적 불평등을 감추는 데 그치며, ‘건물 중심의 복지 쇼’가 인민 건강을 담보할 수 없음을 다시 한번 드러낸다.
결론적으로, 강동군병원 완공은 북한의 의료현대화를 상징하기보다는, 김정은 정권이 체제의 위기와 주민 불만을 ‘건설 성과’로 덮기 위한 또 하나의 정치적 무대에 불과하다.
인민의 건강보다 체제의 이미지를 우선하는 한, 북한의 ‘보건혁명’은 혁명이 아닌 연출로 남을 것이다.
강·동·현 <취재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