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국민대집회에서 연설하고 있는 다카이치 총리 |
도쿄에서 열린 납북 피해자 귀국 촉구 국민대집회에서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가 직접 나서 “북한에 김정은 위원장과의 정상회담 의사를 이미 전달했다”고 밝히며 납북자 문제 해결 의지를 재차 천명했다.
일본 정부 수반이 공개적으로 북측에 회담 의향을 통보했다고 밝힌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다카이치 총리는 3일 도쿄에서 열린 일본인 납북 피해자 조기 귀국 촉구 국민대집회에 참석해 “납북자의 하루라도 빠른 귀국을 위해 심혈을 기울일 것”이라며 “정상회담을 통해 직접 김정은 위원장과 마주 앉을 준비가 돼 있다”고 밝혔다.
그는 “납치 문제가 해결되면 일본뿐 아니라 북한과 국제사회에도 커다란 이익이 될 것”이라며 “어떤 방법으로든 돌파구를 열어 문제를 해결하겠다”고 강조했다. 또한 “정상 간의 솔직한 대화와 과감한 행동이 필요하다”며 정치적 결단의 필요성을 언급했다.
이번 집회에는 1977년 납북된 요코타 메구미 씨의 남동생 요코타 다쿠야 씨를 비롯한 피해자 가족들이 참석했다. 다카이치 총리는 이들에게 “정부가 총력을 다해 가족 재회를 실현하겠다”고 약속했다.
그는 지난달 23일에도 납북자 가족들과 면담하며 “김정은 위원장과의 회담을 통해 반드시 돌파구를 열겠다”고 밝힌 바 있다. 피해자 가족들은 “부모 세대가 살아 있는 동안 귀국이 이루어져야 한다”며 정부의 조속한 행동을 촉구했다.
현재 일본 정부가 공식 인정한 납북 피해자의 부모 세대 중 생존자는 요코타 메구미 씨의 어머니 요코타 사키에 씨 한 명뿐이다.
납북 피해자 가족들은 지난달 28일 방일 중이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마코 루비오 국무장관을 면담했으며, 이 자리에도 다카이치 총리가 동석했다. 일본 정부는 납북자 문제를 국제사회와의 연대 속에서 재조명하려는 외교적 행보를 강화하는 모습이다.
트럼프 대통령 역시 재임 중 납북 피해자 가족을 백악관으로 초청한 바 있어, 향후 미·일 간 인권 연대 재강화가 본격화될 가능성이 제기된다.
일본 정부는 자국민 17명이 북한에 납치됐다고 공식 인정하고 있으며, 이 중 12명이 아직 북한에 남아 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북한은 “8명은 사망했고 4명은 일본에 오지 않았다”며 문제는 이미 종결됐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전임 이시바 시게루 총리 역시 문제 해결 의지를 표명했지만 실질적인 진전은 없었다. 다카이치 총리의 이번 발언은 납북자 문제를 ‘정상 간 직접 담판’으로 전환하려는 의지를 드러내며, 경색된 북일 관계의 새로운 전환점이 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안·두·희 <취재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