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빈과일보 지미 라이 회장 |
지난 APEC 정상회의를 기점으로 미국과 중국 간의 외교‧언론‧인권 담론이 다시 격화되고 있다.
로이터 통신은 익명 미국 정부 당국자를 인용해, 트럼프 대통령이 시 주석에게 홍콩의 반중 언론인 빈과일보 사주 지미 라이 회장의 석방을 직접 요구했다고 보도했다. 양국이 발표한 공식 공동성명에는 이 언급이 포함되지 않았고, 백악관 또한 이에 대해 확인을 거부했다.
지미 라이는 홍콩의 반중 매체인 빈과일보와 뉴스 기업 Next Digital을 창립한 언론인 겸 기업가이다. 그는 2020년부터 홍콩 국가보안법을 적용받아 ‘외국 세력과의 결탁’, ‘선동적 자료 출판’ 등의 혐의로 기소되어 오랜 기간 구금 상태에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미 지난해 대선 유세 중 지미 라이 문제에 대해 “100% 석방시킬 것”이라고 언급한 바 있다. 또한 그는 지난달 30일 부산 APEC 정상회의에서 시진핑 주석과 양자 회담을 갖고, 지미 라이 회장의 건강과 구금 상태에 대해 우려를 제기했다고 보도되었다.
한 익명 당국자는 “트럼프 대통령이 앞서 얘기한 대로 지미 라이 문제를 먼저 제기했고 논의가 이뤄졌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시 주석에게 지미 라이 회장의 석방이 미·중 관계 개선과 중국의 대외 이미지 제고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고 알려졌다. 다만 이 논의는 5분도 채 되지 않는 시간 동안 이뤄졌고, 회담 후 양국이 공개한 공식 발표문에는 지미 라이 관련 언급이 전혀 포함되지 않았다. 백악관 역시 지미 라이 관련 사안이 실제 논의됐는지 여부에 대해 답변을 거부했다.
지미 라이 회장의 구금은 홍콩에서 언론자유와 정치적 반대세력에 대한 중국의 대응을 상징하는 사안 중 하나로 자리 잡아 왔다. 트럼프 대통령이 이를 직접 시 주석과의 양자 회담에서 언급했다는 것은, 언론자유 및 인권 이슈가 양자 정상회담 테이블 위에 올라왔음을 의미한다. 이는 과거보다 인권 담론이 외교·안보 논리와 함께 더 자주 엮이는 경향을 반영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과거 유세 중 지미 라이 석방을 약속한 전력, 이번 회담에서의 언급 등은 향후 미·중 외교 국면에서 ‘언론자유 수호'라는 이미지 포인트로 활용될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또한 중국 측 역시 이슈를 협상 카드의 하나로 삼거나 내부 통제 기제로서 다룰 여지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향후 이 사안이 실제로 미·중 사이의 주요 협상 항목으로 진전할지, 아니면 상징적 제스처에 그칠지 전 세계이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안·희·숙 <취재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