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인터넷 캡쳐 - 조선중앙통신 137 |
조선중앙통신이 “문명개화된 사회주의문화농촌의 새 모습”이라며 선전한 라선시 구룡평젖소염소목장의 준공 보도는, 평양식 선전의 전형을 보여준다.
기사에서는 백수십 세대의 주택과 문화선전실, 탁아소, 유치원, 합숙소 등이 ‘훌륭히 건설되었다’고 자화자찬하지만, 이는 실질적 지역경제나 주민 생활수준 개선과는 거리가 먼 ‘보도용 풍경’에 불과하다.
북한의 ‘문화농촌’ 선전은 언제나 정치적 수사로 포장된 ‘농촌 전시화’이다. 김정은 체제가 추진하는 ‘지방 중흥’은 실제로는 지역별 자력갱생을 강요하는 행정지시형 사업으로, 자재난과 식량난 속에서 농장과 주민들에게 과도한 부담을 지우고 있다.
“당의 원대한 구상과 현명한 령도의 결실”이라는 표현은 반복적인 관제 구호다. 실제로 라선 지역은 대북 제재로 인한 무역 감소, 러시아 항로 의존, 전력·연료 부족 등으로 경제적 침체가 심화된 상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북한 당국은 소규모 시설 건설을 “전변의 역사”로 미화하며, 김정은의 ‘현지지도 효과’를 연출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라선은 1990년대 ‘자유경제무역지대’로 지정되었으나, 지금은 오히려 경제 자립의 상징이 아니라 ‘정치적 모델 농촌’으로 전락했다. 구룡평 젖소·염소목장은 생산성 향상보다 ‘전시용 건설’에 중점을 두는 또 하나의 실험장일 뿐이다.
보도에는 “문화주택 백수십 세대”라는 표현이 등장하지만, 실제 주민 다수는 여전히 연료 부족, 식량난, 위생 문제에 시달리고 있다. 지방 건설 현장은 대부분 군인과 청년돌격대의 무급노동에 의존하고 있으며, ‘준공식’은 당 간부들의 사진용 행사로 끝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농촌 건설’ 보도는 체제 충성 강화를 위한 상징적 무대다. 어린이집이나 문화선전실은 주민 복지보다는 ‘충성교육과 사상 선전의 거점’으로 기능한다.
라선시 구룡평 젖소염소목장의 준공은 실제 ‘중흥’이 아니라 체제 선전용 가상현실이다. 북한 정권은 극심한 식량난과 경제 제재 속에서도, 몇 채의 신축 건물과 일부 가축 방목장을 ‘사회주의 낙원’의 증거로 내세우며 내부 통제를 강화하고 있다.
“문화농촌의 약동”이라는 표현 뒤에는 주민의 땀과 강제동원이 숨겨져 있다. 진정한 중흥은 ‘현명한 령도’의 구호가 아니라, 주민의 자율적 생산과 실질적 생활 개선에서 시작되어야 한다.
김·성·일 <취재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