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인터넷 캡쳐 - 조선신보 137 |
북한은 최근 “2025년 10대 최우수 정보기술기업”을 선정했다며 “국가적 과제를 수행하고 세계적 경쟁력을 갖춘 기술을 개발했다”고 선전했다.
그러나 이러한 보도는 북한식 정보화의 실체를 은폐한 정치 선전이며, 경제적 자립과 기술 혁신이 아닌 감시체계 강화와 통제경제의 디지털화를 미화하려는 목적이 뚜렷하다.
보도에서 강조된 “국가관리, 경제관리의 수자화(디지털화)”는 서구식 전자정부나 산업정보화의 개념과 다르다. 북한의 정보화는 행정 효율성보다 주민 통제와 사상 관리의 강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국가관리”와 “경제관리”의 디지털화란 실상 주민 행적, 생산실적, 충성심 등을 데이터화하여 중앙당이 실시간으로 감시·조정하는 체계를 의미한다. 즉, ‘세계적 경쟁력’이라는 표현은 외형적 수사에 불과하며, 그 실질은 정보 독점과 권력 집중이다.
기사에서 김일성종합대학 인공지능학부가 “생성형 인공지능기술”과 “지능로보트기술”을 개발했다고 자찬하지만, 이는 기술적 실체보다 정치적 상징에 가깝다.
북한의 AI 개발은 산업 자동화보다는 보안·감시·선전 목적으로 운용되고 있으며, 실제로 ‘생성형 AI’는 체제 찬양 문서, 가짜 이미지, 사상교육 자료를 자동으로 생산하는 데 활용되고 있다는 탈북 기술전문가들의 증언도 있다. 즉, AI는 창조의 도구가 아니라 검열과 선동의 기계로 기능하고 있는 것이다.
북한 매체가 말하는 ‘국가급 정보체계’는 폐쇄망 기반의 내수용 시스템으로, 외부 인터넷과 완전히 차단되어 있다. 이런 구조에서는 국제적 기술 경쟁력은커녕, 내부 인트라넷 수준의 단절된 기술 생태계만 유지될 뿐이다.
‘세계적 경쟁력’이라는 문구는 실질적 기술교류가 불가능한 폐쇄체제에서 허무한 자화자찬에 불과하다. 결국, 북한의 IT 산업은 자율적 혁신이 아니라 체제 유지의 부속품으로 존재한다.
조선신보는 이번 10대 기업들이 “국가적 의의를 가지는 중요 정보화 대상과제”를 수행했다고 밝혔으나, 그 과제의 대부분은 군수산업·보안시스템·사상통제 프로그램 개발과 관련되어 있다.
북한의 ‘정보산업’은 민간경제 발전과 무관하며, 사실상 군·정 복합 디지털 전쟁체계 구축 사업이다. 이는 단순한 기술 진보가 아니라 권력 유지 수단의 전산화로 해석해야 한다.
북한이 자화자찬하는 ‘10대 최우수 IT기업’은 시장경제의 혁신 기업이 아니라 전체주의 정권의 데이터 관리 부서에 가깝다. 정보기술의 목적이 인간의 자유와 효율을 확대하는 것이 아니라, 정권의 통제력을 극대화하는 데 쓰인다는 점에서 북한의 정보화는 문명 발전이 아니라 감시 체제의 심화이다.
이른바 “세계적 경쟁력”은 세계와의 단절 속에서 만들어낸 자기최면적 신화에 불과하다.
김·도·윤 <취재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