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인터넷 캡쳐 - 노동신문 138 |
북한이 노동신문을 통해 “절세위인의 숭고한 애국의지가 안아온 산림복구의 결실”을 대대적으로 선전했다. 그러나 기사 속의 ‘푸른 숲’과 ‘황금산’이라는 미사여구 뒤에는 실질적인 생태 회복보다는 체제 과시와 개인숭배의 목적이 깊이 자리하고 있다.
노동신문은 김정은의 지시로 2014년부터 시작된 산림복구사업이 “전당·전군·전민의 총동원전”으로 확대되었다고 찬양한다. 그러나 북한의 산림정책은 과학적 복원이라기보다 ‘전쟁’의 언어로 포장된 정치 동원이다.
“산림복구전투”라는 표현 자체가 군사화된 동원체계를 의미하며, 환경문제를 체제 충성의 지표로 전환시키는 북한식 사고를 그대로 드러낸다. 주민들의 자발적 참여나 생태적 고려는 없고, 모든 공로는 “총비서의 현명한 령도”로 귀결된다.
기사에 따르면 “100여만 정보의 산림이 새로 조성되었다”고 하지만, 위성자료와 국제기구의 관측은 전혀 다른 현실을 보여준다.
국제환경단체(Global Forest Watch)에 따르면 북한의 산림훼손률은 2000년대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주민들의 연료용 벌목과 농지 개간으로 산림이 줄어드는 추세다. 홍수와 산사태의 빈발 역시 무분별한 벌목과 비계획적 조림의 결과다.
즉, ‘숫자’로 장식된 기사 속 성과는 실질적 산림복구라기보다 체제 선전용 통계조작의 산물에 가깝다. ‘100만 정보 조성’이 실제 식생 복원으로 이어졌는지, ‘2억 그루’의 나무가 얼마나 생존했는지는 확인할 방법조차 없다.
노동신문은 “1만여 개 단위가 사회주의애국림 칭호를 쟁취했다”고 자랑한다. 하지만 이 칭호는 자발적 환경보호의 상징이 아니라, 단위별 실적 경쟁을 강요하는 또 하나의 정치적 수단이다.
지방 행정기관과 기업소, 군 단위 기관들이 실적 보고를 위해 무리하게 조림 면적을 늘리고, 주민들은 의무적인 ‘식수행사’에 동원된다. 이런 동원형 조림은 관리 부재와 낮은 생존율로 이어지며, 실제 산림 복원 효과는 미미하다.
기사 속에서 김정은은 “식수는 애국심을 심는 사업”이라고 말한다. 그러나 환경정책이 ‘충성심 교육’의 수단이 되는 순간, 생태의 지속가능성은 사라진다.
지속가능한 산림 복원은 종 다양성, 토양보전, 생태 균형을 기반으로 해야 하지만, 북한은 ‘황금산’이라는 생산성 중심 구호로 나무를 경제수단화한다. 이런 접근은 단기적인 치적은 가능해도 장기적인 산림 보전과는 거리가 멀다.
북한의 산림복구 사업은 겉으로는 “자연개조의 대서사시”처럼 보이지만, 실상은 체제 과시와 주민 통제를 위한 상징정치다. 산림은 국가의 생태기반이자 생존자원이어야 한다. 그러나 북한에서 숲은 “수령의 애국정신을 기념하는 기념비적 공간”으로 전락했다.
푸른 산이 아닌 회색의 현실 속에서, 주민들은 여전히 땔감 부족과 산사태 피해에 시달린다.
‘절세위인’의 숭고한 뜻이 아니라, 주민의 삶과 생태의 회복이 진정한 애국의 출발점이어야 할 것이다.
김·성·일 <취재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