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인터넷 캡쳐 - 조선중앙통신 143 |
북한이 ‘관광상품의 다양화’를 주제로 한 《관광기념품전시회-2025》를 개최했다고 선전했지만, 정작 관광 자체가 사실상 ‘존재하지 않는 산업’이라는 근본적 현실은 기사 어디에서도 찾아볼 수 없다.
외국인 관광이 사실상 중단된 상태에서 기념품 전시회를 열어 보여주는 모습은, 공허한 치장과 정치적 과시로밖에 보이지 않는다.
조선중앙통신에 따르면 이번 전시회에는 미술품·공예품·개성고려인삼·비단제품·고려의약품 등 총 400여 종, 2,000여 점이 출품되었다고 한다. 그러나 문제는 이 많은 기념품들을 실제로 구매할 관광객이 거의 없다는 점이다.
북한은 코로나 이후에도 국경 개방이 극히 제한적이고, 내부 이동과 외국인 방문 모두 통제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김정은 정권이 해외 관광객 없이 수년째 폐쇄적 체제를 유지하는 상황에서, 기념품 전시회를 열었다는 것만으로 관광 산업이 발전하고 있다는 듯한 선전은 현실과 거리가 멀다.
관광 산업은 단순히 상품을 진열한다고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다. 안전한 이동, 국제사회와의 신뢰, 개방성, 투명한 정보 제공, 자유로운 내부 활동이 전제되어야 한다. 하지만 북한은 외국인 관광객 이동을 촬영·감시하고 주민과의 접촉을 철저히 차단하며, 국제 제재로 금융·교통 시스템도 제 기능을 하지 못하고 핵·미사일 도발로 국제사회와의 신뢰도 잃은 상태다.
이런 근본 문제를 외면한 채 기념품 전시회만 강조하는 것은, ‘문제의 본질’을 감추려는 전형적 선전방식에 가깝다.
북한 당국이 말하는 기념품 생산 단위들은 대부분 국가가 통제하는 공장·기업소들이다. 즉, 주민의 생활경제와 실질적 소득으로 이어지는 시장 기반 산업이 아니라, 당·정 기관이 선전용으로 꾸미는 공급 체계일 가능성이 높다.
실제로 북한 주민들은 만성적인 식량 부족, 의료 부족, 물가 폭등에 시달리고 있지만 이번 전시회 관련 보도에서는 지역 경제 효과, 생산 노동자 처우, 주민 소비 여력 등 현실적 문제는 전혀 언급되지 않았다.
기념품 산업은 관광객이 있어야 돌아가고, 관광객은 개방과 신뢰가 있어야 오지만, 북한은 그 모든 조건을 충족하지 못한 채 껍데기 행사만 열고 있다.
전시회가 옥류전시관에서 열렸다고 하지만, 행사 참가자는 당근로자·관련 기관 일군·출품 단위 관계자 정도로 보인다. 결국 ‘관광 산업 발전’이라는 명분을 내세웠지만, 축제의 핵심 주체인 관광객이 사라진 전시회가 된 셈이다.
이는 마치 교통이 없는 고속도로 착공식, 학생이 없는 학교 발전 보고회처럼 본질이 빠진 행사다. 북한이 관광 산업을 진심으로 발전시키고 싶다면, 정치적 개방, 국제사회와의 신뢰 회복, 주민의 기본권 보장, 핵·미사일 도발 중단이 먼저 이뤄져야 한다.
기념품 전시회를 아무리 화려하게 꾸며도, 관광객 없는 관광산업이 살아날 수는 없다. 이번 전시회는 그저 폐쇄 체제의 한계를 가리기 위한 ‘겉치레 선전’일 뿐이며, 관광산업을 부흥시키려는 진정한 의지나 전략은 찾아보기 어렵다.
강·동·현 <취재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