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인터넷 캡쳐 - 조선신보 144 |
북한이 다시 한 번 ‘주체의 사상론’을 절대불변의 영도원칙으로 내세우며 내부 결속을 촉구했다.
조선신보는 로동신문 기사를 인용해 “닭알에도 사상을 재우면 바위를 깰 수 있다”는 식의 비과학적 비유까지 동원하며 김정은 체제의 사상 일색화를 신성불가침의 원리로 포장했다.
그러나 사상만으로 경제난이 해결되지 않고, 충성 구호만으로 인민의 삶이 나아지지 않는다는 사실을 북한 정권만 모르고 있는 듯하다.
이번 기사에서 북한은 다음과 같은 주장을 반복한다. “경제적 여력보다 인민의 정신력이 더 중요하다” “사상의 힘으로 모든 문제를 해결했다” “일심단결이 세계가 무시할 수 없는 국가 위상을 만들었다”.. 그러나 현실은 정반대다.
전력난, 식량난, 산업 기반 붕괴, 무역 절벽, 국제제재 심화 등 이러한 구조적 위기는 어떤 ‘정신력’으로도 극복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
북한이 강조하는 “대중의 정신력 분출”은 결국 추가적인 헌신 강요·동원·노동 착취의 다른 표현일 뿐이며, 주민들의 삶을 돌보는 실질적 정책은 전무하다.
사람이 살기 위해 필요한 것은 안정적인 식량, 의료, 주거, 교육, 자유와 권리 등이지, “혁명적 신념”이나 “당의 사상”이 아니다. 북한 정권이 이를 모를 리 없지만, 정치적 정통성의 근거가 약해지는 것을 막기 위해 사상 통제를 다시 조여가고 있는 것이다.
북한이 ‘일심단결’이라고 부르는 것은 사실상 견해의 다양성·비판·토론·정책 조정 기능이 완전히 사라진 폐쇄 구조다. 이런 구조에서 기적이나 발전이 나올 가능성은 없다.
북한 당국은 여전히 ‘사상’만 강조하며 현실 문제 해결을 뒤로 미루고 있다. 그러나 주민들은 이미 체감하고 있다. 사상으로는 벼 수확량을 늘릴 수 없다는 것, 충성으로는 전기가 들어오지 않는다는 것, 단결 구호로는 의약품이 생기지 않는다는 것, “혁명적 신념”이 배고픔을 채워주지 않는다는 것이다.
북한 정권이 아무리 주체 사상을 ‘절대불변의 원칙’이라고 주장해도, 인민이 겪는 현실은 절대 변하지 않는다. 주민들이 필요로 하는 것은 사상총공세가 아니라 삶을 바꿀 수 있는 정책이다.
주체 사상으로 포장된 충성 강요는 결국 현실을 외면하기 위한 체제의 자기최면에 불과하다.
김·성·일 <취재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