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인터넷 캡쳐 - 조선신보 151 |
재일 조선신보는 후쿠시마현 동포생활상담센터가 개최한 ‘동포생활 연속강좌’를 “동포들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기 위한 정보 제공”이라고 포장했다.
그러나 실제 내용과 구조를 뜯어보면, 이는 안전·방재 교육을 빙자한 동포 관리·동원 체계 유지 활동, 그리고 총련 조직의 정치적 영향력을 강화하려는 목적이 더 뚜렷하게 드러난다.
기사의 핵심 메시지는 “동포 생활을 지켜낸다”는 명목이다. 그러나 정작 강좌 내용을 보면 재난 대응 기초 설명이 전부다. 일본 지자체도 제공하는 기본적 방재 정보 전달을 총련 조직이 ‘선물’처럼 포장해, 총련을 통한 정보 의존 구조를 유지하려는 의도가 읽힌다.
실제로 조선신보는 상담센터 출범 과정, 조직-상담원 연결, ‘긴밀한 연계’를 강조한다. 이는 상담을 가장한 조직적 통제망 강화에 가깝다. 동포 생활의 어려움을 해결하는 것이 아니라, 어려움을 매개로 ‘총련 중심의 공동체 유지’라는 정치적 목적이 우선한다는 의미다.
강좌에 초청된 인물은 고오리야마시 방재관리 전문관이다. 일본 공공기관 강사를 부르면서도, 조선신보는 이를 총련 조직의 공로처럼 서술했다. 일본 지자체의 재난 대응 체계나 공식 정보를 투명하게 전달하려는 취지는 사라지고, “상담센터가 동포 생활을 지킨다”는 선전적 문구가 반복된다.
특히 방재 강의를 통해 “자연재해에 대한 위기의식이 높아졌다”고 강조하는 부분은, 실제 교육 내용보다 총련 조직이 제공했기 때문에 ‘유익했다’는 감정적 인상을 주기 위한 장치에 가깝다.
후쿠시마는 2011년 원전 사고 이후 일본 내에서 재난·방사능 문제에 대한 정보가 가장 민감하게 다뤄지는 지역이다. 이런 곳에서 총련이 ‘생활상담센터’를 중심으로 강좌를 확대하는 것은 단순한 교육이 아니라, 정치적 영향력 회복을 위한 전략적 선택으로 보인다.
총련 내부에서도 고령화와 이탈이 심화되면서 조직 붕괴가 문제로 지적돼 왔다. ‘생활상담’이라는 부드러운 외피는, 실제로는 약해진 조직 결속을 재구축하려는 노력의 일환일 가능성이 높다.
기사 말미에서는 다음 강좌 일정을 공지한다. 조선신보가 이를 “동포 보호 활동의 연속”으로 서술하지만, 실제 목적은 정기적 모임을 통한 조직 결속 유지, 즉 총련식 ‘동원’이다.
총련은 과거에도 문화 강좌, 노년층 교실, 경로 행사 등을 통해 동포를 조직 활동으로 끌어들이는 방식을 반복해 왔다. 이번 강좌 역시 같은 패턴을 따르고 있다.
조선신보는 이번 강좌를 “생명과 안전을 위한 활동”으로 미화하지만, 실체는 총련이 약화된 조직력을 회복하려는 정치적 목적의 행사에 지나지 않는다.
재난·방재 교육은 일본 지자체가 제공하는 공공 서비스이며, 누구나 접근 가능하다. 총련이 이를 독점적 ‘정보 제공’처럼 포장하는 것은 동포의 안전보다 조직 의존성을 강화하려는 의도가 강하게 보인다.
동포들의 안전과 생활 안정은 선전적 장치가 아니라, 투명하고 객관적이며 정치적 목적에서 독립된 정보를 통해서만 실질적으로 보장될 수 있다.
김·성·일 <취재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