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中, G20 때 첫 대면 정상회담?…바이든 "시진핑 오면 만날 것"

- 11월 인니서 G20회의…'칩거' 시진핑, 이달 외유 재개 관측
- 펠로시 방문 이후 긴장 고조 대만 문제 최우선 논의 전망
- 美, 신장·위구르 및 홍콩 문제 등 중국 인권 탄압 문제 거론할 듯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오는 11월 인도네시아에서 열리는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 맞춰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과 만날 의사가 있다고 밝혔다.

 

바이든 대통령은 6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열리는 각료회의 시작 전에 기자들로부터 'G20 정상회의에서 시 주석과 만날 생각이냐'는 질문을 받고 "만약 시 주석이 온다면 시 주석을 만날 것으로 확신한다"고 말했다.

 

만약 바이든 대통령과 시 주석이 직접 만나면 첫 대면 정상회담이 된다. 시 주석은 지난 2020년 1월 미얀마를 방문한 이후 코로나19가 본격 확산하자 지금까지 사실상 국내에서 '칩거'하며 외국을 방문하지 않았다. 하지만 이달 중순 카자흐스탄 방문을 계기로 외국 방문을 재개할 것이라는 관측이 조심스럽게 제기되고 있다.

 

바이든 대통령 취임 이후 두 정상은 다섯 차례에 걸쳐 영상 회담 등의 형태로 접촉을 이어왔지만 대만 문제 등 핵심 현안을 놓고 이견을 확인했다.

 

특히 낸시 펠로시 하원 의장의 대만 방문 직전 이뤄진 통화에서 시 주석이 바이든 대통령에게 만류를 요청했지만, 바이든 대통령이 난색을 표하며 사실상 거부한 것으로 전해졌다.

 

당시 시 주석은 대만 문제와 관련해 "불장난하면 반드시 불에 타 죽는다"며 강하게 반발했고, 바이든 대통령은 양안 관계에 있어 "일방적인 현상 변경 시도에 반대한다"는 기존 입장을 재확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백악관은 그간 바이든 대통령과 시 주석의 대면 회담과 관련해 추진 중이라는 입장으로 일관해 왔다. 두 정상은 지난 7월 28일 진행된 전화 통화에서 대면 정상회담을 추진키로 하고 실무 채널을 통해 구체적인 일정을 조율키로 한 바 있다.

 

미중 정상은 대면 회담이 성사될 경우 펠로시 의장 방문 이후 고조된 대만해협에서 긴장 완화를 시도하며 우발적 충돌 상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안 등을 논의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미국이 대만관계법에 근거한 '하나의 중국' 원칙을 고수하며 대만에 자기방어 수단을 제공할 근거를 유지하는 데다, 펠로시 의장 방문을 기점으로 정치인들의 방문이 이어지며 중국이 한층 민감한 반응을 보이고 있어 가시적 긴장 완화로 이어질지는 미지수다.

 

미국은 신장·위구르 및 홍콩 문제 등을 거론하며 중국의 인권 탄압 문제도 거듭 제기할 것으로 관측된다. 또 러시아의 침공으로 시작된 우크라이나 전쟁이 이때까지 계속될 경우 이 문제도 다뤄질 것으로 전망된다.

 

이와 함께 대중국 관세 문제와 중국의 불공정 무역 관행, 공급망 등의 경제 이슈도 회담 의제에 포함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 · 상 · 만 <취재기자>

핫 뉴스 & 이슈

문재인, 북한 대변인 다시 데뷔
문재인 전 대통령의 회고록 발간이 또다시 남남갈등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그는 회고록에서 남북관계 개선을 위한 자신의 노력과 결정들을 상세히 기술하고 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이러한 노력이 북한의 입장을 과도하게 대변하는 것이 아니냐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그는 자신의 임기 동안 남북관계 발전을 위해 북한 김정은과 여러 차례 정상회담을 가졌다. 이러한 노력은 일시적으로 남북 간의 긴장 완화에 기여했으나, 비핵화와 관련된 구체적 진전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회고록에서 그는 이러한 정상회담들이 남북 간의 신뢰 구축과 지속 가능한 평화를 위한 필수적인 단계였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그가 북한의 입장을 지나치게 수용하며, 북한의 인권 문제와 같은 중요한 이슈들을 충분히 다루지 않았다고 지적한다. 또한, 북한의 비핵화 약속이 실질적인 행동으로 이어지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김정은과의 관계 개선에 너무 많은 시간을 허비했다고 비판한다. 이러한 비판에 대해 그는 회고록을 통해 자신의 접근 방식이 장기적인 평화와 안정을 위한 최선의 길이었다고 강조했다. 그는 남북관계 개선이 단기적인 성과를 넘어 한반도와 전 세계의 평화에 기여할 수 있다고 믿는다고 밝혔다. 그의 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