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정부, 월북 킹 이병에 엄격한 잣대 적용

- JSA 통해 월북한 트래비스 킹 이병, 전쟁 포로(POW)로 분류하지 않기로 정해
- 자진 월북으로 당사자의 안전 여부 등은 북한당국의 책임 여하에 달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복수의 당국자를 인용, 킹 이병을 현재까지는 전쟁 포로로 규정하지 않기로 결정했다고 전했다.

 

전쟁 포로로 규정되면 '전쟁 포로의 대우에 관한 제네바 협약'에 의거해 그에 합당한 대우를 받게 된다. 협약에 따르면 전쟁 포로는 인도적으로 대우받아야 하며 인간적 존엄성이 손상되어서는 안되며, 음식과 구호품을 제공하고, 정보를 알아내기 위해 압박을 가해서는 안된다.

 

미국과 북한은 모두 제네바 협정 서약국으로 이를 준수할 책임이 있는 당사국들이다. 하지만 킹 이병을 이같은 전쟁포로(POW)로 규정하지 않음으로써, 스스로 국경을 넘어 적국으로 귀순한 것에 대해 킹 이병의 책임소재를 명확히 했다는 분석이다.

 

로이터 통신은 "킹 이병의 상태를 어떻게 규정하는지를 놓고는 국방부 내에서 논의가 활발했던 사안"이라며 "기술적으로만 보자면 한국전쟁이 정전 상태이고 미국과 북한은 전쟁 중이기 때문에, 현역 군인인 킹 이병은 전쟁 포로의 조건을 충족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킹 이병이 자발적으로 군사분계선을 넘은 상황이 참작돼 전쟁 포로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판단을 내린 것이라고 익명의 당국자는 설명했다고 전했다.

 

미국 정부와 북한당국은 최근 상호 소통을 통해 이같은 내용들을 공유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북한당국은 신병을 확보하고 있다는 입장 외에 여타의 다른 상황에 대한 설명이나 협상조건 등에 대해서는 함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정부가 나름의 방침을 확정함에 따라 그동안 관망하고 있던 북한으로서는 다른 접근방식으로 소통에 나설 것으로 예상되는 바, 자발적으로 월북한 킹 이병의 처리에 있어 북한당국의 책임이 더 커졌다는 사실에 민감하게 반응할 것으로 보인다,

 

북한당국은 스스로 월북한 군인이나 민간인조차 내부조사를 거쳐 다시 돌려보낸 사례가 대부분이다. 이는 내부선전용으로도 활용가치가 없다고 판단한 결과일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김 · 성 · 일 <취재기자>

핫 뉴스 & 이슈

[기자생각] 518, 그늘 속의 영웅들
1980년 5월, 광주에서는 수많은 민간인의 희생을 초래했으며, 시간이 흐르면서 민주주의의 발전에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고 평가받고 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계엄군으로 참여했던 군인들은 역사의 어두운 그림자 속에 남겨져 있다. 이들은 역사의 죄인일까.. 당시 광주에서 계엄군으로 참여했던 군인들은 국가의 명령에 따라 행동했음은 물론이다. 그들에게 주어진 사명은 내란 진압이었으며, 이는 대한민국의 안정과 보호를 위한 것으로 여겨졌다. 이들의 선택은 단순히 '좋고 나쁨'의 문제가 아니라, 그 시대 상황 속에서 내릴 수밖에 없었던 어려운 결정이었음을 인정해야 한다. 어쨌던 그들은 역사의 한 장면 속에서 피하기 어려운 상황에 처했던 우리와 같은 국민들이었다. 역사의 재평가는 이러한 목소리를 포용하고 이해하는 과정에서 시작된다. 민주주의의 발전과 국가 안보의 중요성을 동시에 고려하는 것은, 대한민국이 직면한 도전을 헤쳐 나가는 데 있어 필수적인 요소이다. 대한민국은 지금도 여전히 북한의 지속적인 위협과 내부적인 도전에 직면해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국가의 안보를 지키기 위한 준비와 결단력은 한시도 미룰 수 없는 사명임에 틀림없다. 과거의 사건을 통해 얻은 교훈을 바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