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인권문제 안보리 공식 의제화로 추진

- 황준국 유엔대사 언급, 17일 결정될 듯

 

황준국 유엔주재 대사는 14일(현지시간) 주유엔 대표부에서 기자들과 만나 국제사회가 북한의 실상을 직시할 수 있도록 북한 인권 문제의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공식 의제화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앞서 린다 토머스-그린필드 유엔 주재 미국 대사는 지난 10일 유엔본부에서 약식 회견을 열고 북한 인권 문제를 다루는 안보리 회의의 개최를 한국, 일본 등과 함께 요청했다고 밝힌 바 있다.

 

북한이 최근 1년 반 사이 대륙간탄도미사일(ICM)을 12번 발사했는데, 희소한 자원을 이처럼 막대한 비용이 드는 무기 개발에 투여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북한 정권의 전체주의적 통제와 인권침해 상황이 놓여 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황 대사는 또 "대내적으로 정치범 수용소에서 강제노동이 이뤄지고 있고, 해외에서도 수만 명 이상으로 추정되는 북한 노동자가 이동의 자유도 없이 사실상 강제노동하면서 번 소득의 90% 정도를 국가가 가져가고 있다"며 "숫자를 특정하긴 어렵지만 이를 통해 몇 억 달러에 달하는 금액이 북한의 핵과 미사일 개발에 들어가고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즉, 북핵 문제를 북한 인권 문제와 따로 떼서 접근할 수 없다는 것이다.

 

다만, 안보리에서 북한 인권 문제를 정식 안건으로 논의한다고 하더라도 중·러가 인권 문제의 안보리 의제화를 꺼려 거부권을 행사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안보리 차원의 강제조치나 의장성명 등과 같은 결과물을 기대하기는 현실적으로 쉽지 않은 상황이다.

 

황 대사는 "그럼에도 북한 실상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고 많은 나라가 규탄에 동참하도록 하는 게 지금 상황에선 북한 인권 개선을 위해 우리가 할 수 있는 거의 유일한 방법이다"라고 말했다.

 

안보리 차원의 강제 조치가 나오기 어려운 국제 환경이라고 해서 북한 문제에 대해 손을 놓고만 있을 게 아니라 국제 여론전을 통해 북한에 압력 행사를 계속해 나가겠다는 취지로 풀이된다.

 

앞서 안보리는 2014∼2017년 4년 연속 북한 인권 상황을 다루는 북한 인권회의를 개최해왔지만 2017년 12월 회의를 끝으로 회의가 열리지 않았는데, 한미일 등의 요청대로 회의가 오는 17일 개최될 경우 2017년 12월 이후 약 6년 만에 처음으로 안보리에서 열리는 북한 인권회의가 될 전망이다.

 

다만, 중국과 러시아가 안건 채택 반대 입장을 표명할 것으로 예상돼 절차 투표를 거쳐 회의 개최 여부가 결정될 것으로 예상된다. 2014∼2017년 회의도 중·러의 반대로 매번 절차 투표를 거쳐 정식 회의 안건으로 채택됐다.

 

절차 투표에서는 상임이사국의 거부권이 없으며 이사국 15개국 중 9개국 이상이 찬성하면 안건으로 채택될 수 있다.

 

김 · 성 · 일 <취재기자>

핫 뉴스 & 이슈

[기자생각] 518, 그늘 속의 영웅들
1980년 5월, 광주에서는 수많은 민간인의 희생을 초래했으며, 시간이 흐르면서 민주주의의 발전에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고 평가받고 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계엄군으로 참여했던 군인들은 역사의 어두운 그림자 속에 남겨져 있다. 이들은 역사의 죄인일까.. 당시 광주에서 계엄군으로 참여했던 군인들은 국가의 명령에 따라 행동했음은 물론이다. 그들에게 주어진 사명은 내란 진압이었으며, 이는 대한민국의 안정과 보호를 위한 것으로 여겨졌다. 이들의 선택은 단순히 '좋고 나쁨'의 문제가 아니라, 그 시대 상황 속에서 내릴 수밖에 없었던 어려운 결정이었음을 인정해야 한다. 어쨌던 그들은 역사의 한 장면 속에서 피하기 어려운 상황에 처했던 우리와 같은 국민들이었다. 역사의 재평가는 이러한 목소리를 포용하고 이해하는 과정에서 시작된다. 민주주의의 발전과 국가 안보의 중요성을 동시에 고려하는 것은, 대한민국이 직면한 도전을 헤쳐 나가는 데 있어 필수적인 요소이다. 대한민국은 지금도 여전히 북한의 지속적인 위협과 내부적인 도전에 직면해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국가의 안보를 지키기 위한 준비와 결단력은 한시도 미룰 수 없는 사명임에 틀림없다. 과거의 사건을 통해 얻은 교훈을 바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