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도발 비상시기, 해병대 사령관 압수수색

- 공수처, 해병대 김계환 사령관 대상 외압 혐의

 

3년 임기를 마친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김진욱 처장이 빈손으로 퇴임하는 가운데, 연이은 북한 도발로 최일선에서 방어임무에 앞장서고 있는 해병대 사령관을 대상으로 한 압수수색이 진행됐다.

 

공수처 수사4부(부장 이대환)는 최근 경기도 화성시 봉담읍 해병대사령부의 해병대 사령관 및 부사령관 집무실 등을 압수수색해 관련 자료를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공수처는 이날 “진행 중인 사건 수사와 관련해 국방부 관계자, 해병대 관계자를 대상으로 수사상 필요한 자료를 확보했거나 확보하고 있다”고 밝혔다. 공수처는 지난 16~17일에는 유재은 국방부 법무관리관의 사무실 및 자택, 박진희 전 군사보좌관의 사무실 등을 압수수색한바 있다.

 

지난해 7월 실종자 수색 중 숨진 채 상병 사고를 수사하던 상황에서 위선의 외압이 있었다는 폭로로 시작된 이번 사건은, 정치적 외풍과 함께 북한의 도발로 야기되고 있는 안보위기 상황에서 이에 대응하는 최일선의 해병대를 혼돈상황에 빠뜨리고 있다는 지적이 많다.

 

해병대 출신의 한 시민단체 관계자는 “채 상병의 죽음은 참으로 가슴 아픈 일이지만, 이 사건을 두고 해병대 수뇌부를 겨냥한 정치적 공격이 1년 가까이 진행되고 있는 것이 과연 정상적인 것인지 이해가 안된다.”며, “정치적 편향성으로 오해를 받고 있는 소위 ‘군인권센터’를 앞세워 북한의 도발에 맞서고 있는 해병대를 흔드는 것은 용납되어서는 안되는 일”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 · 상 · 만 <취재기자>

핫 뉴스 & 이슈

[기자생각] 518, 그늘 속의 영웅들
1980년 5월, 광주에서는 수많은 민간인의 희생을 초래했으며, 시간이 흐르면서 민주주의의 발전에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고 평가받고 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계엄군으로 참여했던 군인들은 역사의 어두운 그림자 속에 남겨져 있다. 이들은 역사의 죄인일까.. 당시 광주에서 계엄군으로 참여했던 군인들은 국가의 명령에 따라 행동했음은 물론이다. 그들에게 주어진 사명은 내란 진압이었으며, 이는 대한민국의 안정과 보호를 위한 것으로 여겨졌다. 이들의 선택은 단순히 '좋고 나쁨'의 문제가 아니라, 그 시대 상황 속에서 내릴 수밖에 없었던 어려운 결정이었음을 인정해야 한다. 어쨌던 그들은 역사의 한 장면 속에서 피하기 어려운 상황에 처했던 우리와 같은 국민들이었다. 역사의 재평가는 이러한 목소리를 포용하고 이해하는 과정에서 시작된다. 민주주의의 발전과 국가 안보의 중요성을 동시에 고려하는 것은, 대한민국이 직면한 도전을 헤쳐 나가는 데 있어 필수적인 요소이다. 대한민국은 지금도 여전히 북한의 지속적인 위협과 내부적인 도전에 직면해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국가의 안보를 지키기 위한 준비와 결단력은 한시도 미룰 수 없는 사명임에 틀림없다. 과거의 사건을 통해 얻은 교훈을 바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