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솔뫼의 우리역사 길라잡이] 更, 고칠 경 vs 다시 갱

- 정몽주의 '단심가' 번역에 오류
- 사람은 '고쳐' 죽을 수가 없는 법

= 그동안 우리가 잘못 알고 있었던 우리역사의 오류와 편견 등을 바로 잡아보기로 했다.  그간 이 방면에 관심과 노력을 기울여 오신 '이영철' 교수를 필진으로 모셨다. 필자가 밝힌 바대로 "코페르니쿠스적이고 르네상스적"인 내용이 될 것이다.  <편집국> =

 

 

인구에 회자되는 포은(圃隱) 정몽주(鄭夢周·1337~1392)의 '단심가'는 이러하다.

 

“이 몸이 죽고 죽어 일백번 고쳐 죽어, 백골이 진토되어 넋이라도 있고 없고, 님 향한 일편단심이야 가실 줄이 있으랴”(此身死了死了一百番更死了, 白骨爲塵土魂魄有也無, 向主一片丹心寧有改理也歟)

 

'단심가'는 이방원(후일 태종·1367~1422)의 '하여가'에 대해 포은의 고려에 대한 충절을 읊은 불후의 시조이다. 그런데 「포은집」에 수록된 한역시를 우리말로 옮길 때, ‘更’을 ‘다시’로 번역해야 옳은데 ‘고쳐’로 오역해서 비롯된 일이다. 아니 사람이 어찌 고쳐 죽을 수가 있겠는가.

 

이는 개항 이후 추진된 조선의 근대화 프로젝트인 갑오경장(甲午更張)을 보면 명확해 진다. 우리는 1894년의 이 개혁을 ‘갑오갱장’으로 읽지 않고 ‘갑오경장’으로 읽는다. ‘경장(更張)’은 거문고 줄을 조율(고쳐 맴)한다는 뜻이다.

 

 

그리고 항일운동기(일제강점기는 주객전도된 역사용어로 수정되어야 함) 외솔 최현배(崔鉉培·1894~1970)가 민족 계몽을 목적으로 저술한 「조선 민족 갱생의 도(朝鮮民族 更生의 道)」(1930)을 보면 ‘更生’을 ‘경생’이 아닌 ‘갱생’으로 표현하였다.

자, 이제 포은의 단심가를 소리 내어 고쳐 읊어보자.

 

 

이 영 철  <前 목원대 교수 / 선진사회만들기연대 역사포럼 운영처장>

핫 뉴스 & 이슈

[지만호의 시사논평] 대통령과 이 대표의 아쉬운 만남 2시간
지난 29일 예정 시간을 한 시간 넘긴 윤석열 대통령과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의 720일 만의 만남이 아무런 합의도 없이 끝났다. 기대 반 설레임 반이랄까? 어느 한쪽의 일방적 발표로 거대 야당의 존재감만 과시한 회담을 놓고 말하는 것이 아닌가? 예정 시간을 넘긴 회담에서 보여준 이재명 대표에게 한마디 한다면, TV를 보고 있는 시청자의 기대에 반(半)도 아니며 설레임만의 극치뿐이었다. 회담이란 반드시 결과가 있어야 한다. 그러므로 5천만 국민의 눈에는 최소공배수라도 나올 것이란 기대의 2시간이었으나, 의료대란의 중심에 있는 의대 정원 증원 문제에 결론 도출도 아닌 공감대만 보여준 회담으로 끝나버렸다. 이런 모습을 지켜본 국민들은 또 한 번의 진영논리에 각자 웅변을 하고 있다! 우리의 승리다 라고! 사실 회담 성사 전에 서로의 정제된 생각을 의제에 올려놓고 결과를 만들어 내야겠다는 것이 회담장에 나온 야당 대표의 위상에 걸맞는 자세이거늘 일방적으로 과시용 문안만 낭독을 한다는 것은 예상된 염려를 불식시키고 협치란 상품을 再생산해보자는 대통령의 기대가 아니라 자신과 자기 당에 포위된 처지에서 탈출해보겠다는 노림수의 만남이 아니었나 지적하는 바이다! 한마디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