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법기관 선관위의 추락

- 특혜채용에 승진까지 '아빠찬스'의혹
- 수뇌부 전면 퇴진과 함께 쇄신 필요

 

'자녀 채용 특혜' 논란으로 작년 김세환 전 선관위 사무총장이 사퇴한 데 이어 25일 박찬진 사무총장과 송봉섭 사무차장까지 연달아 퇴진하는 초유의 사태 속에서도 논란은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그동안 외부 감시와 견제를 제대로 받지 않았고 또한 이번처럼 자녀 특혜 채용 논란을 외부 감사가 아닌 ‘셀프 조사’로 이를 무마하려 한 것은 선관위가 헌법기관이란 것을 전가의 보도처럼 내세웠기 때문이다.

 

그런 선관위가 여권과 여론의 뭇매가 쏟아지고 나서야 지난 23일 5급 이상 자녀 채용 관련 전수조사를 받아들였다.

 

선관위 관계자는 “도덕적 기준이 다 무너진 것 같다. 피나는 자정을 하지 않으면 누가 선거 결과를 믿겠나”라면서 앞으로 “이번 같은 부정 사례가 하나라도 발생하면 공정한 선거 관리 자체에 의심을 받을 것”이라고 걱정했다.

 

한편 지금까지 드러난 6건의 고위직 자녀 임용 사례를 살펴보면, 임용 후 승진까지 한 사례가 6건 중 5건으로 파악되었다.

 

박찬진 사무총장 자녀는 6개월 만에 8급으로, 송봉섭 사무차장 자녀는 1년 3개월 만에 7급으로, 김세환 전 사무총장 자녀는 6개월 만에 7급으로 승진했다는 것이다. 이에 임용은 물론 승진에서도 ‘아빠 찬스’ 의혹이 일고 있다.

 

이런 가운데 국민의힘은 선관위 자녀 채용 의혹에 대한 검찰 수사와 노태악 선관위원장의 사퇴를 요구하고 있다.

 

선관위에서 자녀채용특혜 의혹들이 나온다는 것 자체가, 그동안 헌법기관이라는 이유로 독립성만 강조했지 이에 걸맞은 책임의식이 결여되어 있다는 것을 적나라하게 보여주고 있다고 할 것이다.

 

차 · 일 · 혁 <취재기자>

핫 뉴스 & 이슈

[지만호 칼럼] 저출산을 해결하는 길이 보인다!
OECD 국가 중에 대한민국의 출산율이 최하위라는 딱지가 떨어질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왜? 이런 일이 지속되고 있는가? 가부장주의(家父長主義) 시절의 출산율을 보면 경제 문제와 보육 문제는 열악해도 지금처럼 저출산율은 없었다. 결혼을 하면 대(代)를 잇는 자식을 낳아야 한다는 부모의 책무가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오늘의 우리 현실은 출산을 기피 하는 현상이 심각하게 드러나고 있다. 심지어 결혼까지도 기피 하는 현상이다. 이러한 현상을 놓고 시대적 변화라 말하고 있지만, 경제적 문제와 보육 문제, 그리고 주택 문제를 결부시키고 있다. 정부와 해당 부서에서는 만족스러운 해결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아무래도 돈과 연관이 가장 큰 문제라 생각하는 것 같다. 이 문제에 동의하는 부문도 있다. 애를 낳으면 1억 원을 준다는 말이 여러 곳에서 나오고 있다. 부영그룹 이중근 회장은 자기 회사의 직원들에게 제안을 해서 화제가 되고 있다. 그렇지만 방법에 대해서 필자의 생각도 거들어 본다. 우선 돈으로만 해결하려는 방법에 대해서 현명한 정책이 필요한 것 같다. 대한민국에서 돈으로 출산을 장려하는 정책은 한마디로 인간을 태어날 때부터 가격으로 택한다는 것이 생명의 존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