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임사태' 민주당 정치공작, 김봉현 옥중편지

- 김봉현 전 회장, 옥중편지 통해 폭로, 파장 일파만파
- 조국·추미애 등 연루 의심 세력 철저히 발본색원해야

 

'라임 환매 사태'의 핵심 인물로 징역 30년을 확정받고 복역 중인 김봉현 전 스타모빌리티 회장이, 지난 2020년 10월 자신의 옥중편지가 더불어민주당의 '정치 공작'에 따른 것이었다고 주장해 파장이 일파만파로 거세지고 있다.

 

김 전 회장은 13일 오후 자신의 변호인을 통해 A4용지 11장 분량의 자필 옥중편지를 언론에 공개했다. 3년 5개월 전에 내놓은 옥중편지로 ‘검사 술 접대’를 폭로해, 당시 추미애 법무부장관과 윤석열 검찰총장의 본격적인 갈등을 야기한 장본인이 새로운 주장을 언급한 것이어서 정치권의 진실공방이 치열해질 전망이다.

 

김 전 회장의 이번 옥중편지에는, 당시 자신의 변호를 맡은 민주당 인사 이모 변호사가 자신을 매일같이 찾아와 '민주당 편에서 검찰을 공격하라'고 설득했으며, “자신이야말로 민주당의 정치공작으로 큰 피해를 본 장본인”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그는 이모 변호사의 끈질긴 회유로 자신이 '검사 술 접대' 의혹을 담은 옥중편지를 작성했고, 이씨가 청와대와 민주당 관계자 등과 접촉해 폭로시기를 협의했다고 적었다.

 

김 전 회장은 그해 10월 편지가 언론에 공개된 후, 법무부 감찰담당관이던 박은정 전 검사가 구치소를 찾아와 "대한민국 검찰개혁의 일등 공신"이라고 말했고, 감찰 내용을 추미애 당시 법무부 장관에게 직접 보고했다고 했다.

 

그러면서 자신이 민주당에 협조한 대가로 본인의 보석 석방을 위한 청탁성 입법이 추진됐다고도 주장했다. 이는 범죄 피의자에 대한 불법 로비성 입법 활동으로 국회의원의 입법권이 악용된 사례여서, 만약 이것이 사실로 확인될 경우 정치권에 엄청난 파문이 일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김 전 회장의 청탁성 입법이 추진되는 과정에 자신의 변호사인 이모씨가, “법무부 황희석 인권국장과 함께 조국 당시 장관을 만났고, 조 장관이 직접 국회의원들에게 연락해 법안 발의가 조속히 진행될 수 있도록 도와준다고 했다"고 주장한 부분은, 당시의 권력층이 얼마나 ‘라임사태’의 핵심인물을 위해 총대를 메고 앞장섰는지의 단면을 보여주는 것이어서 충격적이다.

 

피해규모 1조6000억원대로 ‘단군 이래 최대의 금융사기 사건’으로 불리는 라임 사태는, 2019년 7월 라임자산운용이 펀드 돌려막기로 수익률을 관리하고 있다는 의혹이 불거지며 시작됐다.

 

라임사태의 핵심인물인 김봉현 전 스타모빌리티 회장은, 2022년 11월 재판 도중 전자팔찌를 끊고 도주했다가 48일 만에 체포되었으나, 2심 재판을 받으러 출정할 때 경비가 허술한 틈을 타 달아날 계획을 세우고 누나 김씨와 함께 실제 실행하기 위한 준비를 하다가 또다시 덜미를 잡힌 바 있다.

 

현재 김 전 회장은 징역 30년과 769억원의 추징명령을 받고 복역 중이다.

 

김 · 희 · 철 <취재기자>

핫 뉴스 & 이슈

명품 가방 사건, 최재영 목사 소환 임박
윤석열 대통령의 부인, 김건희 여사에게 고가의 명품 가방을 전달한 사건과 관련해, 검찰이 본격적인 수사에 착수했다. 서울중앙지검 형사1부(김승호 부장검사)는 부정청탁금지법 위반, 주거 침입, 위계에 의한 공무집행방해, 정보통신망법상 명예훼손 등의 혐의로 최재영 목사를 피의자 신분으로 조사할 예정이다. 재미교포인 최 목사는 2022년 9월 김 여사에게 300만원 상당의 명품 가방을 전달하며, 이 과정을 '손목시계 몰래카메라'로 촬영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영상은 서울의소리 이명수 기자가 준비한 것으로, 서울의소리는 해당 영상을 공개하고 윤 대통령 부부를 고발했다. 이 사건의 수사는 이원석 검찰총장의 지시에 따라, 전담팀이 구성되고 반부패수사부 검사들이 추가로 투입되어 속도를 내고 있다. 검찰은 이 사건에 대한 광범위한 조사를 진행할 방침이며, 최 목사와 백은종 서울의소리 대표 등 관련자들의 조사도 예정되어 있다. 최 목사 측은 이번 행위가 공익 취재의 일환으로, 범죄의 고의가 없었다는 입장을 밝혔으나, 청탁금지법의 직무 관련성 여부가 이번 사건의 핵심 쟁점으로 떠오르고 있다. 이 사건은 공직자의 배우자가 공적 직무와 관련하여 금품을 받는 것에 대한 법적 한계와